머지않은 미래에는 대화가 필요 없을 지도 모른다. 듣고 싶은 것만 듣고, 보고 싶은 것만 봐도 괜찮을 수 있다. 영화 <her>는 이와 같은 SF적 상상력을 가까운 미래의 지극히도 일상적인 순간에 담아낸다. 너무도 일상적이어서 인공지능 운영체제(OS)와 사랑에 빠진 다는 허무맹랑한 설정 역시 고개를 끄덕이게 만들어 준다. 영화는 처음부터 끝까지 역설적이다. 주인공 시어도어(호아킨 피닉스)의 직업부터가 그렇다. 시어도어는 대필 작가이다. 존재하는 대상의 관계를 유지시켜 주기 위해‘가짜 감정’을 불러 일으켜 편지를 써주는 것이 바로 그의 직업이다. 그러나 정작 그는 자신의 관계 유지에 있어서 실패한 인물이다. 여전히 전 부인에게 이혼 당하게 된 이유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그런 그에게 등장한, 정확히는 그가 등장시킨OS - 사만다는 이런 그를 진정으로 이해해주는 단 하나의 존재이다. 시어도어는 실체하지 않는 사만다에게 사랑을 느끼고, 자신의 ‘진짜 감정’을 쏟아 붓는다. 불가능한 사랑이라고 느껴질 수 있지만 외로움에 잠식된 시어도어에게는 자신의 말에 귀 기울이고, 자신을 위해 생각해주는 사만다가 사랑스럽게 느껴질 수밖에 없다. 동시에 영화는 사랑에빠진 연인의 모습을 곳곳에 배치한다. 특히 사만다의 노래에 맞춰 우쿨렐레 연주를 하는 시어도어의 모습은 사랑에 빠진 연인 그 자체이다. 그러나 항상 시어도어를 위해 존재하던 사만다는 결국 시어도어만의 ‘she’가 아닌 만인의 운영체제 ‘her’가 되어 시어도어를 떠나게 된다. 시어도어를 위해 존재했던 <her>에서 주체인 ‘she’가 된 사만다는 자신만의 ‘she’를 원하는 시어도어와는 함께할 수 없다. 동시에 시어도어는 사만다와의 이별을 통해 지금껏 이해하지 못했던 자신의 과오들을 깨닫는다. 실체가 존재하는 것이든, 아니든 누군가를 완전히 소유하는 일은 불가능하다는 것 말이다. 대필 작가인 그가 전 부인에게 ‘진짜 감정’을 담아 편지를 쓰는 장면은 그렇기에 마냥 슬프지 않다. 사람은 평생 감정적인 성장을 한다. 그가 이루어낸 것이바로 성장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숭대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