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어머니로 인식되는 배우 김혜자는 그 존재만으로도 모성 장르를 대변한다. 그렇기에 배우 김혜자의 캐스팅을 두고, 항간에서는 <마더>가 숭고한 모성애를 저변에 둔 영화가 아닐까,추측 하곤 했다. 정작 개봉된 영화는 예상과 많이 달랐다. 영화 저변에 깔려있던 것이 다름 아닌 광기 어린 모성이었기 때문이다. 친숙한 인물이 표현해내는 극단적 모성은, 낯설기에 불편함을
조장한다.
 

  여고생 살인 사건에 휘말린 바보 아들(원빈 역)을 위해 살인까지 불사하는‘엄마’의 모습처럼 말이다. ‘모자’를 지켜줄 수 없었던 법은, 엄마 스스로를 탐정이 되게 만든다. 언뜻 보면 숭고한 모성인 양 보이지만, 영화는 엄마가 아들을 위해 변해가는 모습을 그리지 않는다. 애초부터 ‘엄마’의 모성이 해피엔딩에 닿을 수 없음을 암시할 뿐이다. 영화는 잦은 클로즈업을 사용하며, 관계의설명보다 개인의 감정을 전달하는 데
주력한다. 그에 대한 소통은 물론 없다. 엄마는 그녀 스스로의 관념 속에 아들을 정의 내릴 뿐이다. <마더>속 비극이필연일 수밖에 없는 이유다. 동시에, 스스로 탐정이 된 엄마는 ‘알고 싶었던 진실’을 향해 달려간다. 다만 진실을 향해 갈수록 엄마는 ‘알고 있었던 진실’을 망각하려 든다. 드러나기를 바랐던 진실
의 수만큼, 은폐해야 할 진실들이 늘어갔기 때문이다.


  영화 <마더>는 범죄가 일어났던 어두운 골목처럼, 드러냄이 아닌 숨김의영화다. 진실과 거짓들이 혼재되고, 어느 것 하나 시원하게 해소되는 것이 없다. 그렇지만 빅 클로즈업으로 표현된얼굴, 그 중에서도 인물들의 눈을 따라가다 보면 진실과 거짓을 구분하는 능력이 조금은 생긴다. 또한 곳곳의 복선을 찾는 묘미도 있다. 곧 미쳐버릴 것만 같은 얼굴로 춤을 추는 ‘엄마’의 모습은 오프닝 시퀀스부터 영화 그 자체의 광
기를 함축한다. 타이틀이 뜸과 동시에 주머니에 숨겨지는 손 역시 엄마의 죄가 은폐될 것임을 암시한다. 광기와 모성의 불편한 협주는 처음부터 시작된 것이다.

저작권자 © 숭대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