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은 공학교육인증을 시행하고 있는 각 대학들에 내년 신입생들이 공학인증을 의무적으로 하도록 전했다. 이에 따라 본교는 공과대학 및 IT대학(글로벌미디어학부 제외) 소속 학과들에 내년부터 공학인증을 의무화해야 한다고 알렸다. 그러나 대상 학과인 11개 학과 중 8개 학과가 공학인증을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렇게 대부분의 학과들이 공학인증 의무화에 대해 반대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대다수의 학생들이 공학인증을 포기하고 있는 사실이 가장 큰 이유로 보인다. 지난해 공과대학 및 IT대학 졸업생 중 공학인증을 받은 학생의 비율은 10% 내외에 그쳤으며, 이는 공학교육인증이 처음 도입된 지난 2009학년도부터 지속되고 있는 현상이다. 학생들의 수요가 적은 것은 공학인증의 절차가 어렵기 때문이다. 공학인증을 하려면 전공 및 교양 과목들을 포함한 최소 102학점을 이수해야 하는데, 이는 졸업이수학점의 대부분을 공학인증을 위해 할애해야 하는 것이다. 이렇게 노력을 들여도 별다른 혜택이 없다는 문제도 지적되고 있다. 실제로 공과대학 소속 학생인 본 기자가 생각해 봤을 때도 인증을 위해 공부하는 것에 비하면 학생에게 돌아오는 큰 이익이 없는 듯하다. 몇몇 기업에서 공학인증에 대한 가산점을 준다고는 하지만, 실제로는 별 차이가 없다는 얘기도 졸업한 선배들로부터 나오고 있다.

  학교는 의무화를 하라고 학과들을 설득하는 것보다, 대다수의 학과가 왜 하지 않는다고 했는지에 대해 먼저 진지하게 생각해봐야 한다. 물론 공학인증을 계속함으로써 이익을 볼 수 있는 교육부의 대학 평가와 재정 지원 등도 중요하다. 그런데 이 이익들 모두 결국은 학생들을 위한 것 아닌가. 정작 당사자인 학생들이 원하지 않고 있는데, 의무화를 계속 추진해야 할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다. 학교가 학생들을 끌고 가는 시대는 이제 지났다. 학생들이 스스로 원하는 수업을 듣고 공부할 수 있는 자율권을 존중하는 대학이 돼야 한다.

저작권자 © 숭대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