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아리가 살 수 있게 산에다 나무를 심자!” 지금은 대한민국이 세계에서 산림녹화에 가장 성공한 사례로 칭찬받고 있지만 반세기 전만 해도 우리의 산림은 현재의 5%에 지나지 않았다. 국토의 절반이 사막을 연상케 할 정도로 벌거벗은 민둥산이어서 울창한 숲은 실현 불가능한 목표로 간주되었다. 오죽했으면 우리나라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색으로 ‘흰 옷’과 ‘붉은 산’을 거론한 작가가 있을 정도였을까? 하지만 정부의 강력하고 지속적인 산림녹화 정책, 무연탄 등 대체연료의 보급, 산업화에 따른 인구의 도시집중 현상 등이 맞물리면서 한국은 가장 짧은 기간에 산림이 무성한 나라로 바뀌었다. 전 국토의 63.8%를 산림이 차지해 선진국 중에서 우리보다 앞선 나라는 핀란드, 스웨덴, 일본 등에 불과하다.

  북한도 일찍이 김일성이 1946년 3월 2일 평양의 모란봉에서 나무를 심은 것을 기념하여 이날을 식수절로 정하였다. 북한은 봄철에만 국한하지 않고 가을철에도 식목행사를 활발히 하며, 최근에는 4계절 내내 나무를 심으라고 홍보하고 있다. 현재 북녘의 산림은 우리와는 대조적으로 최악의 상태를 겨우 벗어나는 단계에 있다. 1970년대부터 정책적으로 추진된 다락 밭 조성으로 인해 토양의 황폐화가 누적된 데다가, 1990년대 말 ‘고난의 행군’ 시기를 거치면서 그 심각성이 더해졌다. 산등성이까지 확장된 뙈기밭 개간, 땔감 확보를 위한 경쟁, 외화벌이 목적의 벌목 등이 겹치면서 산림훼손이 극심해진 까닭에 홍수와 가뭄이 닥치면 무방비상태로 국토가 초토화되는 일이 연례행사처럼 반복되고 있다. 북한은 이러한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 나무심기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였으나, 심은 나무가 채 뿌리를 내리기도 전에 땔감으로 전용하는 풍토에서 큰 효과를 보지 못하였다. 

  김정은 시대에 들어서는 산림복구를 ‘전투’로 인식하고 한층 더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김정은은 2015년 신년사에서 “전후(戰後)에 복구건설을 한 것처럼 산림복구전투를 하라”고 한 데 이어, 2월 26일에는「전당, 전군, 전민이 산림복구전투를 벌려(벌여) 조국의 산들에 푸른 숲이 우거지게 하자」는 논문을 통해 “10년 안에 모든 산을 보물산, 황금산으로 바꾸자!”고 호소하였다. 작년 식수절에는 자신이 직접 삽을 들고 나무를 심는 데 앞장섰다. 올해도 북한은 김정은 신년사에서 전국적인 ‘산림복구전투’를 촉구하였고, 지난 2월 17일 발표된 노동당의 ‘공동구호’ 350여 개 중에서 산림녹화와 관련된 내용이 7개나 될 정도로 나무심기에 비중을 두고 있다. 특히 올해는 식수절 70주년을 맞는 해라서 식목행사에 더욱 열을 올리고 있다. 3월 2일이면 북한의 북부지방은 아직 겨울인데 눈이 쌓여 언 땅을 파고 나무를 심는 모습이 이채로웠다. 금년 들어 벌써 “전국적으로 수천만 그루의 나무를 심었다”고 발표(3월 24일 노동신문)한 가운데 이번 봄철 식목행사는 4월말까지 지속될 예정이다.

  최근 북한의 나무심기운동이 좀 더 체계를 갖추어 가고 있다. 첫째, 묘목 생산에서의 과학화, 공업화, 집약화를 추구한다. 북한은 중앙양묘장과 종합양 묘장을 비롯하여 각 시와 군, 그리고 대규모 공장과 기업소 별로 산림경영소와 양묘장을 설치하고 묘목을 대량 생산하고 있다. 현재 북한에서 묘목은 자체 조달능력을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나무의 사름률(생존율)을 결정적으로 높이라!”는 구호에서 알 수 있듯이 나무를 심는 것보다 잘 가꾸는 것이 더 중요함을 강조한다. 우선 묘목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뿌리의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막기 위해 수분보충제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나무뿌리를 유기질 액에 담근 후에 심거나, 흙을 덮은 후 그 위에 비닐을 씌우는 등의 보완책을 쓰고 있다. 작년 1년 동안 북한 전역에서 1억 그루 이상의 나무를 심었으나, 4월부터 6월 기간 중에 가뭄이 심해 많은 나무들이 메말라 죽었기 때문이다. 셋째, “온 산을 과수원, 황금산으로 만들자”면서 유실수와 수종이 좋은 경제림 조성에 힘을 쏟는다. 넷째, 화초와 지피식물(지표를 낮게 덮는 식물)을 많이 심어 메마른 땅을 없앰으로써 생태계의 근본적인 복원을 꾀한다.

  북한의 산림복구는 곧 우리의 삶의 터전과 직결되는 현안인 만큼 정치적 상황에 구애됨이 없이 남북이 머리를 맞대고 추진해야 할 과제이다. 우리 정부와 지자체, 민간기구들이 그동안 지속적으로 북녘 땅 조림사업에 관심을 갖고 노력한 결과 일정한 성과를 거둔 것도 사실이다. 앞으로는 묘목 배양기술이나 심은 나무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재배법, 비료 지원 등 산림복구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방향에서 남북협력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저작권자 © 숭대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