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유물 소개 <8>


상형토기는 인물이나 동물 그리고 기물(器物)의 형상을 본 떠 만든 토기를 말한다. 상형토기는 일상생활에 사용된 것이 아니라 장례 등 의식이나 행사 시에 술이나 물을 담아 따르는데 사용되거나 죽은 사람에 대한 상징적 기원을 표현하는 용도로 사용된 것으로 생각된다. 상형토기는 크게 인물상, 오리?말 등의 동물상, 집?수레?배?신발 등의 기물상으로 나눌 수 있으며, 주로 신라와 가야지역에서 출토되고 있다.
우리 박물관에는 ‘집모양토기(家形土器)’, ‘짚신모양토기(草鞋形土器)’ 그리고 ‘오리모양토기(鴨形土器)’ 등을 소장하고 있다.


‘집모양토기’는 네 기둥을 세우고 둥근 지붕을 씌웠으며 밑바닥이 땅에서 들리워지게 만들었다. 지붕위에는 굴뚝을 뜻하는 귀때부분(注入口)이 있고, 한쪽 지붕 모퉁이에는 주출구(注出口)가 있어 용기로 사용하였던 것임을 알 수 있다. ‘집모양토기’는 대체로 부장용이나 장례의식에 쓰였던 것으로 추측되며, 이 유물을 통해 고대가옥구조를 엿볼 수 있다.


‘짚신모양토기’는 짚신이나 가죽신의 모양을 본 떠 만든 신발모양토기(履形土器)의 일종으로 주로 신라와 가야지역에서 출토된다.


‘짚신모양토기’는 그릇받침 위에 옛날 짚신 모양의 테를 둘렀고, 그 속에 톱니무늬가 새겨진 잔을 올려놓은 형태를 하고 있다. 이 토기는 짚신의 고식(古式)을 알려 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오리모양토기’는 다리 대신 그릇받침 위에 머리를 아래쪽으로 한 오리를 올려놓았다. 오리의 배부분에는 원점무늬를 새기고 그것을 선으로 연결시켜놓았다. 꼬리와 등 부분에 투공을 내었고 속을 비어 중공형태(中空形態)를 하였다. 그릇받침에는 길쭉하게 칼자국을 낸듯한 독특한 투공을 내었다.


‘오리모양토기’는 고대사회에서 새에 대한 신앙과 결합되어진 것을 알려 주고 있으며, 실생활용기가 아닌 부장용품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저작권자 © 숭대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