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창업 붐이 일고 있다. 통계청에서 발표한 2014년 말 전국 사업체 수는 381만 7,266개로 이전 년도보다 14만 390개(3.8%) 증가했다. 그 중 20대는 23.6% 늘었다. 정부를 비롯한 관련 기관의 지원도 적극적이다. 같은 대학생으로서 청년들이 어려움을 무릅쓰고 창업에 도전하고 관련 기관은 이를 장려하고 지원하는 모습이 무척이나 반갑다. 그러나 창업 붐이라는 현상만 보고 단순히 반가워할 수만은 없다. 특히 경기 불황과 취업난 등을 감안했을 때 지금과 같은 청년 창업 붐에는 우려되는 점이 많다.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80만 개 이상 기업이 폐업한다. 이 중에는 카페와 음식점뿐만 아니라 중소 벤처기업도 포함돼 있다. 기술력을 충분히 가지고 있더라도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사업에 실패하면 신용불량자가 된다. 그러면 사업에 다시는 도전할 수 없게 되며 사회 활동도 원활해지지 못한다. 청년세대가 창업에 실패했을 경우 리스크가 너무 크다. 전문가들은 이를 포용할 수 있는 사회적 관용과 안전망이 충분치 않다고 비판한다. 청년들이 실패해도 재기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정부가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다행히 반가운 소식은 최근 들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사업에 실패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재기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부터 정부는 ‘재도전 종합지원센터’를 서울과 부산, 대전에 각각 개설해 운영하고 있다. 이런 점들은 긍정적이다. 하지만 아직 미흡하다는 반응도 많다. 단순히 소수의 인력으로 상담 지원을 하는 것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외에도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대학원생과 일반인에 비해 학부생에게는 지원금의 기회가 적게 돌아가거나 사업계획서 위주로 신청자를 심사하다 보니 형식적인 절차를 지나치게 강요한다. 또한 많은 청년 창업가들이 기술을 개발하고도 특허 출원 비용을 해결하지 못하는데 이를 위한 방안도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한계를 딛고 창업제도를 재정비하기 위해서는 재기 지원 시스템을 꼼꼼히 갖춰야 한다. 창업에 성공한 기업인만큼이나 실패한 기업인도 소중한 자산이다. 실패 과정에서 생긴 경험과 아이디어를 결코 무시해서는 안 된다.

저작권자 © 숭대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