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8일(목) 이화여대에서 학생들 주체의 시위가 펼쳐졌다. 학교 본부가 학생들과의 충분한 동의 없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설립한 데 학생들이 분노했기 때문이다. 평생교육 단과대학은 기존의 평생교육원 운영 체제와는 많은 차이가 있다. 당연히 이런 갑작스러운 변화에 불만을 갖는 학생도 존재할 수 있다. 

  항상 그런 학생들을 설득하지 못하는 본부의 소통방식이 아쉬울 뿐이다. 대학가에서 최근 들어 많이 발생하고 있는 점거·시위는 공통적으로 학생과 학교와의 소통의 부재를 원인으로 꼽는다. △프라임사업 △코어사업 △평단사업 등 정부재정지원사업에 지원하는 대학들 중 사전에 학생들과의 간담회를 개최하거나 교내구성원들의 동의를 충분히 구하는 학교는 드물다. 본교 역시 3월 19일에 마지막 프라임사업 추진 계획서가 변경된 이후 학생들의 반발이 심하자 23일 총장과 전체학생 면담회를 급히 개최한 적도 있다.

  그러나 이런 사태에 이르게 된 원인을 오롯이 학교의 소통 부족으로만 돌릴 수는 없다. △교육부의 조급한 성과주의 △원칙 없는 대학 재정 지원 방식 △일부 학생과 교수 등 대학 구성원의 이해 부족 역시 함께 작용할 것이다. 이번 평단사업에서도 교육부는 5월 5일 선정대학 6개를 뽑은 후 곧바로 6일 후인 11일에 재선정 공고를 내보냈다. 목표치인 10개 대학을 채우기 위한 조급한 선택으로 보인다. 대학들은 그에 발맞춰 빠른 시일 내에 사업에 지원하려다 보니 충분한 구성원들의 동의를 받기 어려운 것은 당연하다. 또한 이화여대는 올해만 프라임사업과 코어사업 등을 통해 교육부로부터 100억여 원의 지원금을 받았다. 심지어 이미 대학원 연구지원 사업인 BK21플러스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정부지원금을 모두 받으려는 대학의 과다한 욕심과 교육부의 성과주의가 맞물렸다고 볼 수 있다. 물론 교내 구성원들의 오해와 문제 제기도 개선될 필요가 있다. 독단적인 리더십에 대한 문제 제기는 충분히 이해하지만 평생교육 단과대학 사업을 무조건 ‘돈벌이, 학위장사’로 규정하는 것만은 옳지 않다.

  학교 당국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서는 학교 본부의 개선만으로는 안 된다. 교육부는 사업 지원에 대한 올바른 제도를 구축해야 하며 학생과 학교는 사업에 대한 충분한 이해 속에서 논의를 거쳐 학교에 적합한 길을 모색해야 한다.

 

저작권자 © 숭대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