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에서의 근대교육은 흔히 서울의 ‘배재학당’과 ‘경신학당’의 교육과 평양의 ‘숭실학당’의 교육이 비교 연구돼 왔다. 

  1885년 조선에 들어온 언더우드와 아펜젤러는 복음전도의 자유가 허락되지 않았지만, 그해 곧바로 서울에서 교육사역을 시작하였다. 아펜젤러는 11월에 고종황제로부터 학교설립 인가를 얻어 근대교육의 효시인 ‘배재학당’을 시작하였고, 언더우드는 이듬해 5월 고아원 형태의 ‘경신학당’을 시작하였다. 그리고 평양에서는 청일전쟁이 끝나고, 1897년 10월에서야 베어드가 ‘평양학당’을 시작하였다. 이후 베어드의 평양학당은 1901년 ‘숭실학당’, 1906년에는 ‘숭실대학’으로 발전하여 한국 최초의 근대 대학이 되었다. 이 두 지역은 식민지 조선의 교회를 관통하고, 기독교 교육을 규정짓는 중심축이었다. 
 
  그런데, 이 두 지역 가운데 서울의 교육기관들은 조선총독부와 친화적 관계를 맺으며 학교를 존속시켰다. 반면, 평양의 교육기관은 일제의 신사참배에 저항하며 학교를 자진 폐교하는 아픔을 겪어야 했다. 이러한 차이는 학교의 교육이념으로 부터 비롯되었다. 서울은 사회지도자 육성을 목표로 한 ‘기독교사회교육론’으로 인해 세속적이며 현실 타협적이 되었고, 그에 반해 평양은 교회지도자 육성을 목표로 한 ‘토착적 기독교 교육론’으로 인해 복음주의적이며 정치권력에 저항적이었다. 
 
  이러한 신학적, 기독교 교육학적 관점의 차이는 1930년대 일제가 태평양 전쟁을 일으키며 신사참배를 강요하였을 때, 평양은 저항, 서울은 타협이라는 구도로 나타나게 된다.
 
저작권자 © 숭대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