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지난 7월부터 공공기관과 지방 소재 공기업을 대상으로 블라인드 채용을 전면 도입했다. 이에 따라 각 기관과 기업들은 직원을 채용하는 과정에서 입사지원서와 면접을 통해 출신 지역과 학력, 학점, 외모, 가족관계 등 지원자의 정보를 요구할 수 없다. 

  지난 7월 4일(화) 고용노동부는 관계부처와 함께 ‘공공부문 블라인드 채용 추진방안’을 발표했다. 이에 332개의 전체 공공기관에 블라인드 채용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배포했으며, 전면 시행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149개의 지방 소재 공기업에서는 지난 8월부터 블라인드 채용방식을 도입했다. 
 
  이는 출신 지역과 학력 등의 조건으로 인해 면접의 기회조차 가질 수 없었던 취업준비생들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즉, 출신 지역이나 가족관계 등 노력만으로 얻을 수 없는 조건에 구애받지 않고, 모두 똑같은 출발선상에서 나아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본 제도는 도입된 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부족한 점이 많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블라인드 채용을 통해 한국사회가 공정사회로 나아갈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된다면 그것만으로도 큰 수확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은가.
 
  지금까지 대한민국의 취업시장에서는 학력과 학벌, 출신 지역, 외모 등 타고나야만 하는 선천적인 요소들을 통해 취업이 결정됐다. 특히 혈연과 지연, 학연에 따른 인연은 이른바 ‘인맥’이라는 단어로 당연시돼 왔고, 이는 취업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활용돼 왔다. 오랫동안 한국사회에 깊게 뿌리박혀 있었던 취업 관행을 한 번에 개선할 순 없을 것이다. 그러나 블라인드 채용과 같은 작은 변화를 계속해서 반복하다 보면 언젠간 공정하고 평등한 사회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대신 이번 정부에서는 이전과 달리 새로운 방향의 정책을 제시했기 때문에 다양한 이해관계에 놓여있는 주체들이 본 제도를 이해할 수 있도록 설득하고, 의견을 수용해 좀 더 나은 제도를 만들어가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숭대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