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이 되면 알록달록하게 물든 나무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는 싱그러운 푸른색으로 물들었던 여름의 모습과는 또 다른 매력을 보인다. 그렇다면 단풍은 왜 붉게 물드는 것일까?

 단풍이 물드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식물이 햇빛을 이용해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과정을 광합성이라고 한다. 이때 중요한 재료는 공기, 햇빛, 물, 엽록소다. 엽록소는 잎이 초록색을 띠게끔 하는 물질로, 광합성을 통해 식물의 영양분이 되는 포도당을 생산한다. 그런데 나뭇잎에는 엽록소 외에도 안토시아닌, 카로티노이드, 크산토필 등의 붉거나 노란 계열의 색소가 숨어있다. 이어 가을이 오면 여름에 비해 기온이 낮아지고 일교차가 커져서 온도에 민감한 엽록소가 파괴된다. 그러면 숨어 있던 빨강이나 노랑 계열의 색소가 두드러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안토시아닌이 많으면 빨간색, 카로티노이드 색소가 많으면 주황색, 크산토필이 많으면 노란색 단풍이 든다.

 또한 단풍은 다음과 같은 것들에도 영향을 받는다. 우선 단풍 색깔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온도와 습도이다. 낮 동안 잎에서 생산한 당을 운반하는 잎맥은 밤 기온이 낮아지면 닫혀버린다. 그렇게 되면 당이 증가하여 안토시아닌의 농도가 높아지고 더 짙은 색의 단풍이 들게 된다. 또한 가을이 되기 전의 기후에도 영향을 받는다. 즉, 나무가 보내온 봄과 여름의 온도나 강우량이 지나치지 않아야 더 색을 잘 머금은 단풍이 피게 되는 것이다.

 이어 단풍은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떨어진다. 보통은 가을이 지나 겨울이 올 때 바람이 세게 불기 때문에 떨어진다. 이뿐만 아니라 가을이 되어 나무가 성장을 멈추고 월동을 준비하며 수분과 영양분이 몸에서 빠져나가는 걸 막기 위해 나뭇잎을 떨어뜨리기도 한다. 나뭇잎이 나무의 수분과 영양분을 소비하기 때문이다. 한편 온도도 잎이 떨어지는데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면 떡갈나무종의 잎은 보통 낙엽이 되나 온실에서 기를 경우 비교적 온도의 영향을 덜 받기 때문에 단풍이 잘 떨어지지 않는다.

 오는 25일(화) 금강산에 첫 단풍이 모습을 드러낼 예정이다. 이번 여름은 평소보다 훨씬 더 기온이 높았던 만큼 단풍이 색다른 모습을 보여줄지도 모르겠다. 캠퍼스를 돌아다니며 시간이 난다면 단풍을 유심히 관찰해보는 것은 어떨까? 혹은 아름다운 단풍을 보기위해 가을 나들이를 떠나보는 것도 학업에 지친 몸을 쉬게 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저작권자 © 숭대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