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의 ‘2016년 사망원인통계 결과’에 따르면, 10대부터 30대까지 인구의 사망원인 1위는 자살(고의적 자해)인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의 자살 사망자 수는 지난 2016년 기준 1만 3천 92명으로, 하루 평균 35.8명이, 40분마다 1명이 목숨을 끊는 것과 동일한 통계다. 

  한국은 지난 2003년부터 2016년까지 세계경제협력기구(OECD) 자살률 통계 1위를 유지해왔다. 지난 2016년 OECD 국가 평균 자살률이 인구 10만 명당 12.1명인 것에 비교해 한국은 25.6명으로 두 배 넘는 수치가 나타났다. 지난달 23일(목) 국회 자살예방포럼 제1차 정책세미나(이하 자살예방포럼)에 따르면 최근 한국은 OECD 자살률 2위로 내려섰지만, 자살률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순위 변동은 지난 5월 말 한국보다 높은 자살률을 가진 리투아니아가 OECD에 신규 가입했기 때문으로, 국내 자살률에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 동기로 가장 많이 지적된 것은 정신 질환이다. 경찰청이 2016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주요한 자살 동기는 △정신적 문제(36.2%) △경제생활 문제(23.4%) △신체 질병 문제(21.3%) 순이었다. 또한 한국자살예방협회 백종우 사무총장은 자살예방포럼에 참석해 우리 사회의 문제점으로 △자살 위기에 대처하는 복지 및 사회적 지원의 부족과 접근 실패 △정신적 질환 문제의 낮은 치료 △자살을 보도하는 언론의 선정성 △번개탄 같은 자살수단의 통제 실패를 꼽아 정신 질환 문제가 경찰청과 공통적으로 분석됐다. 지난 2016년 1월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15년 심리 부검 결과에 따르면, 심리 부검 대상자 121명 중 88.4%가 우울증 등 정신 질환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으나 이중 꾸준히 치료를 받은 비율은 15%에 불과했다. 보건복지부가 지난 7월 공개한 ‘OECD 보건통계 2018’에 따르면, 한국의 항우울제 소비량은 19.9DID로 OECD 평균인 62.2DID보다 현저히 낮은 수치가 나타나 상위권에 위치한 자살률이 대비되기도 했다. 경희대 정신건강의학과 이상민 교수는 “정신과 치료에 대한 편견이 높은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분석했다.

  온라인상 무분별하게 확산되고 있는 자살유해정보에 대한 문제도 지적됐다. 지난 7월 △보건복지부 △경찰청 △중앙자살예방센터는 2주간 국민 참여 자살유해정보 클리닝 활동을 개최했다. 그 결과 2주간 1만 7천 338건의 자살유해정보가 신고됐으며, 그중 5천 957건이 삭제 조치됐다. 신고된 게시물의 내용은 자살 관련 사진․동영상 게재(46.4%), △자살방법 안내(26.3%), △기타 자살 조장(14.3%), △동반자살자 모집(8.4%), △독극물 판매(4.6%)로 드러났고, 특히 자살 관련 사진․동영상에서는 자해사진이 84%를 차지했다. 보건복지부 권준욱 국장은 “자살유해정보는 모방 자살을 유발할 수 있어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라며 “자해 사진 게재의 증가 등 자살유해정보의 확산을 막기 위한 제도적인 개선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자살 사망자 수를 줄이기 위해 지난 1월 정부는 ‘자살예방 국가 행동계획’을 수립했다. 이는 현재 자살률 25.6명에서 2022년 17.0명까지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6개 분야 54개 과제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전국 지자체는 지난 10일(월) ‘세계 자살 예방의 날’을 맞아 각종 캠페인과 자살 예방 프로그램 등을 진행했다. 본교가 속해있는 동작구에서는 지난 10일(월) ‘세계 자살 예방의 날’ 기념 캠페인을 통해 정신건강 관리수칙 책자 배포 등을 진행했다.

  한편 WHO에서는 자살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으로 △자살수단의 접근성 제한 △언론의 책임 있는 자살 보도 △의료와 복지, 사회시스템 간 자살 예방 협력관계 구축을 제시했다.

저작권자 © 숭대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