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지난 8월 발표한 ‘2017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1인 가구 비율은 28.6%(526만여 가구)로, 15.5%(222만여 가구)였던 2000년 대비 13.1%p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1인 가구가 가구원 수 기준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게 된 것은 지난 2015년 이후다. 이에 반해 1인 가구를 위한 법적 장치는 부족한 실정이다.

 지난달 30일(일)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이하 KB금융)가 발간한 ‘2018 한국 1인 가구 보고서’에 따르면 1인 가구 중 59%가 비자발적으로 1인 생활을 시작한 것으로 밝혀졌다. 비자발적 사유로는 △학교·직장 △혼자 사는 것이 편해서 △배우자를 못 만나서 △경제적 이유 △이혼·사별 △자녀분가·유학 등이 있다. 그러나 1인 가구 생활에 만족한다는 응답은 전체의 69.5%로 나타났다. 또한 49.7%의 응답자가 향후에도 혼자 살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특히 향후 혼자 살 의향이 있는 1인 가구 중 8년 이상 혼자 살겠다고 응답한 비중이 36.2%로 높게 나타나 앞으로도 1인 가구 비율은 유지되거나 증가할 전망이다. 지난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를 기반으로 통계청이 발표한 장래가구추계에 따르면 오는 2045년 1인 가구 비율이 36.3%(810만여 가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됐다.

 현재 1인 가구가 한국의 가장 주된 주거 유형으로 자리 잡았지만 1인 가구가 느끼는 어려움도 많은 상황이다. KB금융 보고서에서 1인 가구가 가장 우려하는 것으로 44.3%가 외로움 등 심리적 안정을 꼽았으며, 43.9%가 건강관리라고 응답했다. 특히 건강의 경우, 63.3%가 혼자 살면서 건강에 대한 우려가 늘고 있다고 응답했고, 43.5%가 그럼에도 건강을 위한 특별한 조치를 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또한 불의의 질병·사고시 현재 가지고 있는 자산으로는 감당할 수 없다고 밝힌 응답자가 40.5%에 달했다. 또한 1인 가구 거주주택 소유 형태는 △전세 △월세 △자가 순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자가 비율의 경우 28.2%에 불과해 지난해 가계금융 복지조사에서 조사된 전체 가구의 자가 비율(60.7%)에는 한참 못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김영정 연구위원은 “1인 가구 전체를 취약계층으로 볼 수는 없지만 기존 정책이 가족을 기본단위로 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라고 지적했다.

 정부는 생계유지가 힘든 1인 가구를 위해 다양한 분야의 지원정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미비한 상태다. 주거 지원으로는 ‘노년 1인 가구를 위한 노인복지시설’을 운영하고 건강 분야에서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 검진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비해 40‧50대 1인 가구 대한 정부의 관심은 적은 편이다. 보건사회연구원이 지난해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50~64세 1인 가구의 우울증 의심 비율은 27.2%로 같은 연령대 2인 이상 가구(8.8%)의 3배이며, 자살 생각은 13.9%로 2인 이상 가구(3.0%)의 4.6배였다. 국회 김춘진 보건복지위원장은 “가족과 떨어져 살며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년 1인 가구는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라고 말했다.

 한편 통계청이 발표한 ‘1인 가구 현황 및 특성’에서 서울시의 1인 가구는 수도 전체 가구의 31.0%인 118만 가구로 집계됐다. 1인 가구가 고립·단절되지 않도록 서울시에서는 지역별로 1인 가구 공간과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그러한 프로그램으로는 △청년 대화 프로그램(은평구) △1인 가구 탐구생활(관악구 건강가정지원센터) △1인 남성가구를 위한 요리교실(강북구) 등이 있어 1인 가구의 특징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공되고 있다. 더불어 서울시 이은영 가족담당관은 “서울시는 1인 가구를 보편적인 가족 유형으로 인식하고 앞으로 세대별 1인 가구의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정책지원을 통해 사회적 가족도시를 구현하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숭대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