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목) 교육부는 대학들이 취업 지원을 강화할 수 있도록 취업통계를 세분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통계를 통해 각 대학은 전공별 졸업자의 소득금액 및 대기업 취업률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취업자가 졸업을 하고 직업을 구하기까지 시간이 얼마나 걸렸는지, 취업자의 출신 대학과 근로 지역의 매칭 현황 그리고 취업자가 이직하지 않은 비율 등을 세부적으로 밝힐 예정이다.

  이러한 방침은 취업난이 심화된 상황에 대학들이 ‘맞춤형’ 취업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이뤄졌다. 지금까지는 대학 혹은 취업지원센터가 취업한 졸업자에게 전화를 돌려 취업 여부를 물어 정보를 파악해왔다. 그러나 졸업자와 연락이 닿지 않거나 정보 제공을 거부하면 취업정보를 취합하기 어려워 통계를 내기 쉽지 않았다. 따라서 이번 교육부의 방침으로 대학들의 행정적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교육부가 밝히는 취업통계는 대학 서열화와 대학 내 전공별 서열화를 야기할 수 있다는 위험성이 있다. 통계를 통해 각 대학에서는 대기업 취업률이 높은 전공에 취업 지원을 비롯한 학과 지원을 집중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최악의 취업난 속에서 대기업 취업률이 높은 대학과 전공으로 신입생들이 몰릴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취업률이 상대적으로 저조한 기초 학문을 가르치는 학과가 붕괴해 교수와 학생들의 의욕을 저하시킬 수도 있다.

  이번 교육부의 방침은 대학의 본질을 무시한 채 취업률을 잣대로 대학을 줄 세웠다는 면에서 여러 문제를 불러올 것으로 보인다. 대학은 학문과 배움에 목적을 둔 교육기관이다. 그러나 이러한 서열화 조장은 대학을 단순히 취업을 위해 공부를 하는 ‘취업 기관’으로 전락시킬 수 있다. 교육부는 대학 서열화가 심화될 것 이라는 우려에 취업통계를 해당 대학에만 제공한다는 방침이지만, 대학가에선 취업통계 외부 유출을 피하기 어렵다고 보고 있다.

  심각한 취업난을 해결하고자 학생과 대학에게 보다 체계적인 취업통계 자료를 제공한다는 취지는 좋다. 그러나 앞으로 야기될 대학 및 전공별 서열화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해야만 ‘교육’에 목적을 둔 대학의 본질을 지켜낼 수 있다.
 

저작권자 © 숭대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