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사조교A가 내년 개편된다. 소통 부재로 인한 학교본부와 학생대표자의 갈등은 얼추 해소됐다. 지난 12일(월) 미팅에서 학생대표자는 개편안에 기대를 보이기도 했다. 학생회관 “학생 배제, 불통 규탄” 현수막도 내려졌다. 개편은 순항하는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오늘(월) 학사직군 노조는 선언문을 발표했다. 노조원들은 본지 편집국을 찾아와 개편에 대한 불만을 하소했다. 개편 당사자인 그들은 ‘논외’라고 했다. 학사직군 노조 이병연 분회장은 “개편에 대한 의견을 전달하고자 했으나 우선 학교본부로부터 개편의 방향을 들은 바가 없다”고 말했다.

  학교본부를 이해한다. 행정조직 개편은 본부의 권한이다. 학교 운영을 위한 결단이라고 본다. 그러나 세상이 바뀌었다. 현 정부는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비정규직 제로(0)’ 정책을 폈다. 비정규직 근로자의 노동 처우 개선에 무게를 두고 있다.

  그들도 사람이다. 그들은 자식 둘을 둔 부모도, 한 집안의 가장도 된다. 개편으로 혹여나 생업을 잃을까 밤잠을 설쳤다. 학교본부는 고용 보장을 구두로 약속했지만, 구두계약은 계약 당사자가 계약을 부정하거나 내용을 달리 주장하면 입증하기 어렵다. 이에 그들은 고용 보장에 대한 공문을 요청했지만, 거부당했다. 해당 부서는 타 부서로 책임을 돌렸다.

  그들은 개편안을 걱정하기도 했다. 실무자인 그들은 개편의 영향을 누구보다도 잘 안다. 학사직군 노조와의 인터뷰에서 모두 “학사조교A 대신 배치될 ‘교육연구조교’로 학과 운영이 원만하게 흘러갈지는 미지수”라고 했다. 조교 중 유일하게 ‘행정 시스템 접근 권한’을 갖는 학사조교A는 학과 및 행정부서와 관련된 재정 지출, 기안 등의 업무를 소화한다. 반면 접근 권한이 없는 교육연구조교는 업무에 분명한 한계가 있다. 개편의 부작용이 심히 우려된다. 부작용은 행정 서비스의 수요자인 교수와 학생이 떠안아야 한다.

  개편안에 교내 3주체가 얼추 합의해 학교본부는 이달 내로 최종 개편안을 확정할 예정이지만 아직은 시기상조다. 업무 이해도가 높은 현장 실무자들의 목소리를 담아야 한다. 그들의 의견을 청취해야만, 추후 야기될 개편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숭대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