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에서 시행되는 제로페이의 팜플렛의 일부
서울시에서 시행되는 제로페이의 팜플렛의 일부

  서울시가 제로페이 서비스를 시작한 지 3개월이 지났다. 제로페이 사용이 가능한 매장은 소상공인을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으나, 실제 제로페이를 통한 결제 이용률이 저조해 비판이 일고 있다. 

  제로페이란 소상공인의 카드 수수료 부담 완화를 위해 0%대의 수수료율이 가능하도록 △정부 △지자체 △은행 △민간 간편결제 사업자가 함께 협력하여 만든 계좌기반의 모바일 결제 서비스이다. 전국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확대를 목표로 하고 서울시에서 시범 도입됐으며, 개인에게 발급된 QR코드를 통해 계좌이체를 해 결제하는 시스템이다. 

  제로페이의 활성화를 이끌기 위해 서울시는 이번 달 25개 자치구의 가맹점 유치 실적을 평가해 3백억 원을 특별 배정하기로 하는 등의 유입 정책을 펴고 있다. 하지만 제로페이 결제 실적은 한참 모자란 수준이다. 지난 6일(수) 자유한국당 김종석 국회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 제로페이 결제 실적은 8천 6백여 건, 결제 금액은 1억 9천여 만 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달 국내 개인카드 결제 건수 15억 6천만 건과 비교하면 0.0006%에 해당하는 수치로, 카드 결제 금액 약 58조 원에 비하면 제로페이의 결제 금액은 0.0003%에 불과한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현재로선 소비자와 가맹점 모두에게 유인책이 크지 않아 확산되기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카이스트 경영공학부 이병태 교수는 “소상공인들에겐 이미 신용카드 수수료가 낮아져 사실상 수수료 부담이 줄었다”며 “제로페이가 매력적이지 않다”고 말했다. 또 “사용자 입장에선 스마트폰에서 앱을 실행해 QR코드를 찍고 지불 금액을 입력하는 등 제로페이 사용법이 번거롭고 신용카드처럼 가격 할인이나 포인트 적립조차 되지 않으니 쓰지 않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제로페이의 경우는 가게 포스(POS·바코드 인식 결제) 단말기와 연동이 안 돼 매출 관리도 어렵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또한 서울시는 제로페이로 결제할 경우 소득공제율이 최대 40%라고 홍보하고 있지만, 이를 위한 법안은 여전히 국회에 계류 중이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기획재정부에서 신용카드 소득공제를 축소하겠다는 움직임을 보이자 “제로페이 활성화를 위해 다른 결제 수단의 공제 범위를 줄이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서울시는 제로페이 활성화를 위해 총력을 가하고 있다. 가맹점에 사용자의 QR코드를 인식하는 결제 방법인 POS 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결제 과정 간소화를 위해 여러 안을 마련 중이다. 이달 말부터는 ‘모바일 티머니’ 앱을 통해 제로페이를 사용하면 결제액의 1~2%를 마일리지로 돌려준다. 다음 달까지 △CU △GS25 △이마트24 등 주요 편의점 업체를 제로페이 가맹점으로 등록해 편의점에서 제로페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한강공원, 어린이대공원 등 390여 개 서울 공공시설에서는 제로페이 할인을 적용한다. 아파트 관리비, 전기요금 등과 시·구에 납부하는 지방세와 범칙금 등도 제로페이로 납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 역시 검토 중이다. 이러한 방안들이 제로페이에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숭대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