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 장관 후보자를 둘러싸고 온 나라가 들끓고 있다. 여러 가지 의혹이 제기된 가운데 정작 장관으로서 업무 능력을 검증하는 것은 도외시한 채 주변 인물들에 대한 의혹을 파헤치는 데 여념이 없는 기이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 사태를 어떻게 바라보는가는 세대별로 그리고 정치적 성향에 따라 다르겠지만 적어도 20대 청년층과 대입 수험생을 둔 학부모들은 실망감과 배신감을 넘어 무력함을 느끼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자식들을 좋은 대학을 보내고 싶어 하는 것은 모든 학부모들이 바라는 것이지만 모든 학생들이 좋은 대학에 가는 것은 아니기에 치열히 경쟁해서 남들보다 앞서야 하는 것이 피할 수 없는 현실인 만큼 공정하게 정해진 원칙에 따라 경쟁해야 하는 것은 가장 기본이 된다.

  오죽했으면 대통령마저 대입제도를 개선하라고 할 정도였고 교육계에서도 그동안 꾸준하게 현행 대입제도를 수정하거나 대폭 손질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수능으로 대학진학을 결정하는 것에 찬성하는 고등학생과 학부모의 비율이 70%나 된다는 것은 현재의 학생부종합전형 제도가 공정하지 않다는 인식이 깔려 있기 때문이다. 수험생들에게 고루 기회를 준다는 그동안의 여러 대입 전형이 실상은 부모의 사회적 지위에 따라 수험생에게 유리한 정보가 불공평하게 배분되는 것이 현실이었기에 그렇지 못한 부모들 입장에서는 박탈감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개인의 재능과 특기를 통해 다양성을 살리고, 점수로만 선발하는 방식을 지양하며 환경에 따른 불리함으로 피해를 보지 않게 한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교육의 평등이라는 원칙이 무색할 정도로 교육 현장에서 벌어지는 여러 문제점들로 인해 대입 제도에 불만이 많을 수밖에 없다.

  교과활동분야보다 비교과활동분야에서 부모의 영향력이 더 크다는 점이 이번 사태를 통해 새삼 드러났다. 출발선 자체가 이미 불공정하다면 그럴 여지가 발생하지 않게끔 개선해야 하거나 과감히 없애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대학입시제도처럼 논란이 많은 제도도 찾아보기 힘들다. 아무리 좋은 제도를 만들어도 이익을 보는 집단과 손해를 보는 집단은 항상 존재하며, 좋은 대학 입학이 앞날의 성공을 상대적으로 더 보장해 준다는 믿음 때문이다. 현재의 입시 제도를 근본적으로 바꾸는 것은 단시일 내에는 가능하지 않다. 끊임없이 보완해야 한다. 문제풀이식 교육도 필요하겠지만 개개인의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교육을 먼저 시행하는 것이 대입 제도 개선보다 더 시급한 일이다. 앞으로의 사회는 틀에 박힌 교육으로는 살아남기 힘든 사회가 될 것이며 그런 흐름은 우리 곁에 다가오고 있다. 결국 문제는 교육이다.

저작권자 © 숭대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