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교수들의 설화(舌禍)가 잇따르고 있다. 한 유흥업소에서 벌어진 사건과 관련하여 모 대학 외래강사의 불법 촬영 동영상에 대한 언급에서부터 반일 감정에 대한 이의 제기, 그리고 가깝게는 서울의 모 대학 교수의 위안부 관련 언행에 이르기까지 일반적인 상식 수준에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말들이 여과 없이 쏟아져 대학생은 물론 일반인들의 거센 반발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일각에서는 국회의원의 면책특권에 빗대 교수들의 이런 발언들을 학문의 자유나 표현의 자유로 이해하려는 이들도 있다. 대학교수의 임무 중 하나가 연구인만큼 자신의 분야에서 거둔 학문적 성과를 일방적인 잣대로 폄훼할 수는 없다. 한 가지 사안이나 사건에 대해 보는 시각에 따라 각기 다른 해석을 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교수, 더 넓게 얘기해 학자라는 지위에 있는 사람들의 의견이 해당 분야의 전문가 견해라고 사회에서 인정되고 그들의 견해가 일반 대중들의 판단에 매우 커다란 영향을 줄 수 있기에 학자들은 그만큼 언행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더욱이 개인이나 한 사회에게 극도로 민감한 이슈에 대해 언급할 때 죽음보다 더 한 끔찍한 과거의 고통을 헤아리는 마음가짐이 필요하고 때로는 사실 여부보다 더 중요할 수 있다. 학자의 연구 결과가 그가 속한 사회의 일반적 상식이나 감정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는 일반이 갖고 있는 지식이나 생각이 종종 잘못된 것일 수도 있다. 이런 면에서 보면 그 사회의 일반 상식과 반대되는 결과물은 때로는 그릇된 상식 등을 바로잡아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어느 사회든 금기시하는 이슈가 있다면 말로 표현하기에 앞서 한번쯤은 숙고할 필요가 있다. 유럽에서 나치와 관련된 문제가 그러하다면 요즘 한국 사회에서는 일본과 관련된 일, 특히 일제 식민시대와 관계있는 일이라면 더욱 그렇다. 대중의 감정적 대응을 따지거나 탓하기에 앞서, 학문과 표현의 자유를 내세우기에 앞서 자신의 말로 인해 상처 받을 이들의 입장을 고려해야 한다. 학문의 자유는 당연히 인정받아야 하지만 학자는 연구자이자 학생들을 가르치며 올바른 가치관을 심어줘야 하는 책임 있는 교육자이기도 하다. 학문의 자유란 특정 시각에 얽매이지 않고 새로운 해석을 제기하고 그것에 기초해 다양한 토론과 논쟁을 보장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엄연한 사실로 판명된 것을 자신이나 특정 정파의 입맛에 맞게 제멋대로 연구하고 발표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특히 인권 유린과 같은 반인륜적인 이슈를 다룸에 있어서는 더더구나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해야 한다. 할 수는 있지만 해서는 안 되는 말들이 있음을 항상 명심해야 한다.
 

저작권자 © 숭대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