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는 머지않아 전기자동차 시대로의 전환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에 맞게 우리나라도 전기자동차 인프라를 빠르게 구축해 전기 자동차 시장에서 뒤처지지 않아야 한다.

  전기자동차는 내연기관 자동차의 자리를 대체하면서 대세로 올라서고 있다. 여러 국가가 향후 15년 이내에 내연기관 자동차의 퇴출을 선언했기 때문이다. 지난 7월 서울시는 2035년부터 내연기관 자동차의 서울 사대문 내 진입을 통제하고 신규 등록을 금지하겠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미국 캘리포니아 주 또한 2035년부터 내연기관 자동차 판매를 제재했으며, 20년 안에 △독일 △영국 △노르웨이 등을 포함한 15개국이 내연기관 자동차를 더 이상 생산하지 않겠다고 공표했다. 전 세계 자동차 시장의 패러다임은 내연기관 자동차에서 전기자동차로 이미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에 발맞춰 정부는 전기자동차와 관련한 인프라를 구축해 전기자동차 시장의 확장을 뒷받침해야 했으나 그동안 인프라 구축보다는 재정지원에 더 큰 비중을 두어왔다. 정부가 2010년부터 전기자동차 운전자에게 △취득세 △등록세 △공영주차장 요금을 감면해주고 전기자동차 보조지원금을 지급하는 재정적 유인책에는 큰 비중을 두었지만, 관련 인프라 확대에는 소홀했다. 인프라 부족 현상은 지금까지 이어졌다. 지난 17일(목) 전국경제인연합은 ‘전기차 시장 글로벌 동향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열악한 국내 전기자동차 충전소 현황을 밝히며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충분한 인프라 확보를 주장했다.

  이미 각국에서는 일찍부터 전기자동차 인프라를 구축해 관련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 러시아는 2014년부터 국가적인 차원에서 전기자동차 개발 및 관련 인프라 조성을 위한 시범 지역들을 선정하고 발전시켜왔다. 오스트리아 또한 이미 2014년부터 전기자동차용 충전소 인프라 확대를 위한 관련 설비 공급업체를 입찰해왔다. 독일의 경우 현재 전기자동차 고속충전소가 전체 충전소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며, 2030년까지 100만 개의 전기자동차 공공 충전소를 설치할 계획을 밝혔다. 인도는 2017년부터 ‘전기차와 에너지 저장정책’을 승인해 전기자동차 충전소에 필요한 땅을 장기임대 형식으로 제공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쟁국들은 이미 인프라를 확충해 전기자동차 시대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

  전기자동차 인프라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는다면 전기자동차 국내시장 확장은 지연될 수밖에 없다. 이제 정부는 기존의 전기자동차 보급 목표에서 전기자동차 인프라 확충을 위한 목표로 정책적인 변화를 시도해야 한다. 또한 전기자동차 인프라에 전폭적으로 투자해 이전보다 더 빠른 속도로 전기자동차 시장의 발전을 선도해야 한다. 패러다임이 변하는 과도기를 놓치면 향후 자동차 시장에서 도태될 것이 분명하 다. 전기자동차 시대로 향하는 막차는 이미 다가오고 있다. ‘전기자동차 행’ 급행열차 앞에서 더 이상 머뭇거릴 시간은 없다.

저작권자 © 숭대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