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8일(수)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이 42주년을 맞았다. 대한민국은 위기의 순간을 국민의 힘으로 극복해낸 현대사를 가지고 있다. 일본의 침략에 맞선 ‘3.1 운동’ 에서 시작해 △4.19 혁명 △1987년 민주항쟁 △대통령 탄핵을 이끌었던 지난 2016년 촛불 집회까지 국민이 주권자임을 역사의 속에서 증명해냈다.

  민주화운동 당시 1980년 5월 14일과 15일 서울지역 대학 학생대표들은 계엄령 상황에도 시내에서 대규모 시위를 벌였다. 시위나 반독재투쟁 등에 대해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던 많은 학생들도 가방을 들고 그곳 현장에 참여했고, 이러한 움직임에 호응하여 시민들도 가세를 하였다. 서울 시내 모든 대학의 학생들이 서울역 광장에 모여 시위를 함으로써 결집된 역량을 보이기로 한 것이다. 당시 서울역 회군으로 학생들의 시위가 중단됐으나, 이때의 희생이 우리나라 민주주의 밑거름이 되었다.

  5.18 이후 수년간 전국의 대학에서는 독재 타도와 민주화에 대한 열망이 식을 줄 몰 랐다. 누구랄 것도 없이 대학생들이면 누구라도 민주 투사가 되었고 독재에 맞서 싸웠다. 눈앞에 벌어지는 일을 보고 그대로 가만히 있을 수가 없었으며, 이때 독재와 맞서 싸우는 일은 시대적· 역사적 소명이라 여겼기 때문이다. 이때 대학생을 대표하는 학생자치 조직인 총학생회는 정부의 통제에 의해 사라졌다가 부활하기를 반복했다.

  예나 지금이나 학생들은 총학생회가 자신들의 생활과 직접적인 관련을 갖는 분야에서 역할을 해줄 것을 기대하고 있다. 한편 지난 1994년 대학 문화그룹에서 실시한 대학생 의식조사결과에 따르면 총학생회의 활동에 대해 △그저 그렇다 △대체로 불만족이다 △아주 불만족한다는 답변이 총 81.94%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은 총학생회의 활동의 문제는 학생들의 무관심(37.14%)에 이어 지나친 정치투쟁(21.22%)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문제는 총학생회의 지나친 선동이었다. 과거 학생 운동에 대한 향수에 젖어 독재 타도 및 민주주의를 쟁취하자고 외치는 것은 공허한 일에 지나지 않으며, 단순 집회나 농성이 아닌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대책을 가지고 학생 전체의 공감을 이끌어 내는 방식으로 제시해야 한다. 대학생 모두는 자유와 인권이라는 보편적 가치를 당 당하게 누릴 수 있어야 하며, 그 누구의 자유와 인권이 침해되는 것도 방치돼선 안된다. 자유와 인권의 가치를 지키고 확대해 나갈 방안은 온전히 우리의 손에 달려있는 것이다. 학생운동의 위상 재정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숭대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