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내 마약 중독자 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마약 중독자 수는 지난 5년 전과 비교했을 때 5배 증가했다. 이제 마약은 한 범죄 사건에 불과한 사안이 아니다. 한국 사회의 질서를 해치는 중대한 문제가 됐다.

  그중 마약과 관련해 가장 큰 문제는 청소년 사이에서 마약 투여가 빈번해지고 있다는 점이다. 불과 4년 전까지만 해도 청소년 마약 문제는 심각한 사안은 아니었다. 국가청소년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2019년 만 10세부터 만 19세까지의 한국 청소년 중 마약 사용 경험이 있는 비율은 0.2%로 나타났다. 지난 2019년에 발표된 ‘유엔 세계약물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청소년 중 마약 사용 경험이 있는 비율은 약 8%로 집계됐다. 이는 한국 청소년들이 비교적 마약으로부터 안전한 환경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조차 옛말이 됐다. 지난해 경찰청이 발표한 ‘청소년 마약 실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4월까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마약 범죄 검거 건수는 전년 같은 기간 대비 57.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마약 사범이 증가한 주된 이유로는 마약 구입 난도가 낮아진 환경에 있다. 과거 마약을 구하려면 신뢰가 형성된 판매자를 대면해 암암리 구매하는 방식이었다. 현재는 온라인 메시지를 중심으로 각종 전달 수법이 발달함에 따라 쉽게 마약을 구할 수 있게 됐다. 게다가 사법당국의 검거를 피하는 수법도 발달해 마약을 쉽게 그리고 은밀하게 접할 수 있는 구조다.

  이에 쉽게 구할 수 있는 ‘펜타닐’과 이른바 ‘공부 잘하는 약’으로 불리는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치료제’ 등 마약성 약물이 청소년의 일상에 스며들고 있다. 해당 약물은 후유증이나 죽음까지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심각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청소년 마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실질적인 예방 대책을 세워야 한다. 그 이후에 △경찰 △검찰 △관세청 △국가정보원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관련 기관이 함께 마약 단속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이에 따라 △예산 지원 △과학 장비 확충 △전문가 교육 등이 보충돼야 하는 것은 필수다.

  교육 기관의 역할도 당연히 중요하지만, 현재 이뤄지고 있는 마약 예방 교육은 형식적인 온라인 영상 교육 형태로 이뤄져 있다. 즉, 교육 기관의 실효성이 전혀 없는 상황이다. 청소년 마약 범죄 예방에 대해 표준화된 강의 자료나 학교 전담 경찰관을 위한 자료도 부재하다.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에서는 분기별로 마약 중독 실태와 중독성에 대한 실질적 교육이 시급히 이뤄져야 한다. 국가의 미래인 청소년이 마약 중독에 빠진다는 것은 절대 일어나서는 안 된다. 청소년 마약 문제가 조속히 해결되길 바란다.

저작권자 © 숭대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