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태화 감독

  대지진 이후 잿더미가 되어 버린 서울, 무너지지 않은 단 하나의 아파트 주민이 나라면?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상상력을 무한히도 자극하는 작품이다. 천재지변 이후의 디스토피아를 다룬 작품은 무수히 많지만, 이 영화는 ‘아파트’라는 한국인에게 가장 민감한 소재 중 하나를 전면에 내세우며 나의 집을 지키는 다양한 인간 군상을 보여준다. 그렇기에 영화는 기본적으로 나라면 과연 어떤 행동을 취했을지 상상할 수 있게 만든다.

  유일무이한 ‘유토피아’가 된 ‘황궁 아파트’는 본디 낡고 오래된 아파트다. 고가의 신축 아파트인 ‘드림 팰리스’ 사람들에게 차별을 일상처럼 받아 오던 그들에게 하루아침에 뒤집혀 버린 세상은 곧 무기이자 전부가 된다. 물론 황궁 아파트 주민들 또한 살아남은 이들과 공존을 꿈꾸던 순간이 있다. 그러나 한정된 자원과 작은 위협에도 커다란 불안감을 느낄 수밖에 없는 환경 속 황궁 아파트 주민들은 스스로를 선택받은 사람이라 칭한다. ‘아파트는 주민의 것’이라는 슬로건을 앞세우며 아파트 밖 개인들은 그저 바퀴벌레로 생각하는 모습을 통해 황궁 아파트의 유토피아는 폐허가 된 인간성 위 언제 무너질지 모르는 모래성처럼 불안하게 연출된다. 동시에 영화에는 절대 선이 존재하지 않는다.

  주민들의 지지로 새로운 주민 대표가 된 영탁(이병헌)은 아파트를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도균(김도윤)은 외부 인을 몰래 도우며 인간으로서의 도리를 지키고자 한다. 인간성의 양극단을 대표하는 캐릭터지만 엄태화 감독은 그들 모두에게 서사를 부여하며 인물들 모두 그저 자신의 방식으로 스스로의 생존에 최선을 다할 뿐임을 피력한다. 다시 말해 황궁 아파트의 주민들도, 그들이 바퀴벌레라 칭하는 외부인들도 결국에는 평범한 사람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처럼 영화는 명확한 대립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재난 영화의 클리셰를 따르지 않는다. 아이러니한 웃음과 긴장감을 적절히 조율해 나가며 상징과 은유를 영화 곳곳에 배치한다. 그렇기에 영화 말미에 일구어 낸 자그마한 희망이 더 소중하게 느껴지기 마련이다.

저작권자 © 숭대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