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학가를 뜨겁게 달구고 있는 전공자율선택제, 이른바 ‘무전공 입학’과 관련한 교육부의 방침이 드디어 확정됐다. 교육부는 지난달 31일(수)에 「대학혁신지원사업 기본계획(안)」을 확정 발표하고, 학생들의 전공 선택권을 확대하기 위한 추진 성과 및 전략을 평가하겠다고 밝혔다. 

  교육부가 공개한 구체적인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① 전공자율선택제 운영을 위해 모집단위를 개편하고 ② 학생이 전공·진로 탐색을 통해 적합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지원체계를 갖춰야 하며 ③ 재학 중에도 실질적 전공 선택권(전과, 복수전공 등)을 보장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혁신이 성공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학사·인사·재정 부문의 모든 제도를 혁신하라는 주문이다. 특히 눈길을 끈 것은 ‘모집단과 혁신 성과’, 이른바 무전공 모집 인원에 대해 25%라는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하고 대학혁신지원사업 평가에 정량 배점을 부여했다는 점이다.

  그야말로 근본적인 혁신 요구가 아닐 수 없다. 교육부도 이 점을 고려하여 25% 모집 요건 의무 적용을 1년간 유예하고, 올해는 대학혁신지원사업 평가시 가점만을 부여하겠다고 한발 물러서는 태도를 보였다. 다만 이러한 방향성에 변함이 없을 것임을 확실하게 선언하고 있어, 각 대학은 혁신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분주한 모습이다.

  사실 이러한 방향성은 1년 전부터 예고돼 있었다. 본교도 작년 7월 전공자율선택제 실현을 위한 10% 광역 모집 계획을 교육부에 제출하고 A등급의 우수한 평가를 받은 바 있다. 다만, 모집 형태 및 그 규모에 차이가 있어 기존 계획의 수정이 불가피하게 됐다.

  전공자율선택제는 피할 수 없는 사회의 흐름이다. 학문 간, 산업 간 경계가 모호한 시대를 맞아 융합인재 양성이 절실하다는 교육부의 문제의식에 공감한다. 다만, 교육부가 의도하는 ‘쏠림 현상 유발’은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것이다. 특히 무전공 모집과 전과 제도, 다전공 제도는 유기적으로 연결돼 있다. 대학의 자원은 한정돼 있는데, 25%의 학생들에게만 초점을 맞추다가 기존의 방식대로 선발되는 75%의 학생들이 피해를 보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될 것이다. 

 교육부의 최종 목표는 결국 100%의 학생들이 소속될 각 학과(부)가 변화하고 혁신하여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데에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기초 학문 보호를 위한 방안이 동시에 요구되고 있다. 대학 본부는 관련 부처들이 모인 TF를 구성하고 이에 부합할 수 있도록 몇 가지 개편(안)을 준비 중이다. 

  이제 교육부의 방향이 확정됐으니, 본격적으로 구성원들의 지혜를 모을 때다. 구성원 모두가 만족할 방법은 없을 것이나, 무엇이 학생들과 학교의 미래를 위한 길일지 다함께 고민해 보기를 희망한다.

저작권자 © 숭대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