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롭게 변경된 2014학년도 대입전형

  지난 4월 9일(화) 본교가 <2014학년도 대학입학전형계획 주요사항>을 발표했다. 해당 자료에는 2014학년도 주요 변경사항을 따로 명시하고 있다. 내용으로는 △일부 전형 통폐합 및 모집시기 변경 △수시 SSU미래인재전형 및 일반(논술)전형 우선선발 실시 △장애인등대상자전형전환 △대학수학능력시험 반영 요소 변경 △학교생활기록부 반영 과목 수 축소 △학교생활기록부 학년별 반영 비율 변경 등이다.

 

  그러나 이에 대해 일부 입시생들과 학부모들은 이번 대학입학전형계획이 정부의 눈치를 봐서 변경된 게 아니냐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일부 전형 폐지, ‘대입 간소화 정책’의 영향?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2012년 대통령선거에서 ‘대입 간소화 정책’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이에 따라 일부 고등학교 측에서는 본교의 일부 전형 폐지가 정부의 영향이 아니냐는 말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2014학년도 본교 대입전형에서는 △계열우수자전형 △대안학교출신자전형 △이북5도민전형이 폐지된다. 경상남도 소재의 한 대안학교 ㄱ교사는 이러한 상황에 대해 “작년에는 인하대학교에서 대안학교출신자전형을 폐지
했는데 올해는 숭실대도 폐지했다.”며 “전형이 시행된 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 대학들이 비슷한 시기에 하나둘씩 폐지해 나가는 상황을 보면 입시제도가 일관적이지 않고 정부정책을 따른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본교 입학사정관팀 측은 이를 오해라고 일축했다. 입학사정관팀 오경진 입학사정관은 “대안학교는 입시 위주의 교육을 벗어나 다양한 교육을 지향해야 하는데 요즘 대안학교들은 학생들에게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까지 준비시키는 등 입시를 중요시한다.”며 폐지 이유를 밝혔다. 이어 “대안학교 출신자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의 입시결과와 학업능력이 좋지 않은 것도 폐지의 이유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북5도민전형은 특정한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한다는 문제로 폐지해야 한다는 대교협의 결정에 따라 폐지했다. 이북5도민 전형은 원적 또는 출생지가 이북5도인 자의 자녀 또는 손자·녀(외손 포함)가 지원할 수 있는 전형이기 때문이다.

 

정원 적은 전형 폐지, 반발 최소화하려는 꼼수?
  반면 여전히 입시생을 둔 학부모들은 학교 측의 해명이 변명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학부모ㄱ씨는 “전형 간소화 정책으로 인해 전형 수를 줄여야 하니 이북5도민전형, 대안학교출신자전형과 같이 모집인원이 적은 전형을 폐지해 반발과 혼란을 최소화하려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실제로 2013학년도 대입전형에서 대안학교출신자전형과 이북5도민전형의 모집인원은 각각 24명, 20명으로 SSU미래인재전형의 모집인원이 187명인 것에 비해 적다. 입학관리팀 서형민 팀장은 “정부의 이번 정책은 2015학년도부터 적용되고 전형계획은 전년도 11월쯤에 결정된다.”며 “2014학년도 전형은 정부 정책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타대도 ‘전형 폐지’의 길 선택했나?
  그러나 본교의 3개 전형 폐지 결정은 대학입시 간소화 정책의 영향이라는 비판을 피하지 못하고 있다. 타 대학들도 마찬가지로 입시 간소화 정책에 대해 각자 나름대로 대처하고 있지만 본교와 같이 많은 전형을 폐지한 경우를 찾기는 힘들다. 연세대는 2014학년도 서울캠퍼스 대학입학전형 주요사항에 ‘전형 간소화’를 가장 먼저 언급했다. 특히 간소화 방안 중에는 ‘전형 내 지원 트랙 전면 폐지’가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이
는 폐지가 아닌 여러 전형들을 통합한 것이다. 한양대의 경우에도 ‘전형 폐지’와 같은 큰 변동사항이 없다. 한양대 입학처 관계자는 “어차피 대입 간소화 정책은 2015학년도 입시부터 적용되기 때문에 이번에 일부 전형을 통폐합하는 방식으로 전형을 간소화할 필요를 못 느꼈다.”고 밝혔다.

 

정책 따라 이랬다저랬다 하는 대입전형
  2014학년도 본교 입학전형에는 특성화고졸재직자전형이 신설된다. 이는 박근혜 대통령의 지난 18대 대선 당시 ‘대학의 사회적 책무성 차원에서 농산어촌 출신 학생, 저소득층 학생, 고졸 취업자를 대상으로 한 입학전형 확대’공약에 따른 것이다. 이에 대해 입시생 ㄱ씨는 “숭실대가 특성화고졸재직자전형을 신설한 것이야말로 대학이 정부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대학이 자율적으로 대학입학전형을 결정할
수 없는 이유는 정부의 지원금 때문이다. 현재 정부는 대학이 당국의 대입정책방향을 따르는 지를 보고 지원 여부를 결정하고 있다. 서 팀장은 “입학사정관제의 경우 제도의 특성상 인건비가 많이 필요하므로 교비만으로 운영하기는 어렵다.”며 “기본적으로 대학이 어느 정도 자율권을 가지고 있긴 하지만 정부의 지원이 필요한 상황에서 대학이 해당 정권의 입시정책을 완전히 무시할 수는 없다.”라고 밝혔다.

 

  ㄱ교사는 이러한 상황에 대해“정권이 바뀔때마다 입시제도도 들쭉날쭉하니 정신이 하나도 없다.”며 “정부 당국도 대학도 모두 대입전형을 일관성 있게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숭대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