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디 앨런’의 시간 여행은 구형 푸조 한 대로부터 시작된다. 열두 시 종이 땡 하고 울리면 나타나는 이 요술마차는 주인공 ‘길’을 1920년대의 파리로 안내한다. 다분히 판타지 요소가 넘치는 설정이지만 그 과정은 의심스러울 만치 평범하다. 타임 슬립을 이뤄주기에 한 대의 푸조는 너무도 소박하게 느껴진다. 그러나 우디 앨런은 파리를 통해 이 일상적인 판타지에 낭만을 더한다. 밤의 파리를 걷고 있는 그 누구라도 길처럼 과거로의 초대를 받을 수 있을 것 같은 환상을 심어준다. 단, 길처럼 낭만을 믿고 있는 사람에 한정해서 말이다.

  푸조의 도착지는 1920년대 예술만능주의가 팽배한 파리였다. 작가 길이 살고 있는 물질만능주의 사회와 정반대되는 공간이며 동시에 전형적인 현실주의자 ‘이네즈(길의 약혼녀)’에게 보이지 않는 공간이기도 하다. 스캇피츠제랄드, 헤밍웨이, 피카소, 고갱, 달리까지 평소 예술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이라도 알만한 예술가들이 한 프레임 안에 등장한다. 그 속에서 길은 그가 살고 있는 현실보다 1920년대 사회에 더 자연스럽게 녹아들고, ‘아드리아나’와 사랑에 빠진다.

  그러나 영화는 과거로의 회귀가 주는 환상성에 메시지를 그치지 않는다. 길의 황금시대는 아드리아나에의해 그 환상이 무너진다. 아드리아나가 그녀의 황금시대로 시간 여행을 선택하는 모습을 보며, 비로소 길은 행복을 찾아야 할 곳이 과거가 아니라 현재임을 깨닫게 된다. 영화 <미드 나잇 인 파리>는 과거로의 시간 여행을 통해 현재를 돌아보게 만든다. 존재 자체로 낭만적인 파리가 우리의 시선을 사로잡으며 유토피아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감독의 메시지를 수용 가능하게 한다. 우리가 살고 있는 곳은 바로 현재이다. 또한 행복은 과거가 아닌 현재에 존재한다. 물론 그 현재가 우리에게 따분함을 줄 수도 있다. 그러나 잊어서는 안 된다. 과거는 과거이기에 아름다운 것이다.

저작권자 © 숭대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