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1990년대 후반부터 경제난 극복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내외환경의 변화에 따라 북한의 지향 목표가 ‘강성대국’에서 ‘강성국가’로 그 명칭이 바뀌는 등 곡절을 겪었으나 정책의 근간은 크게 다르지 않다. 요체는 이미 이룩된 ‘정치사상강국̓, ‘군사강국’을 바탕으로 ‘경제강국’을 이룩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북한이 추구하는 방향은 과학기술의 육성을 통한 ‘우리(북한)식 지식경제강국’ 건설이다. 북한의 이 같은 노선은 사회전반의 기반시설이 부족하고 해외로부터 대규모 자본유치가 여의치 않은 상황에서 불가피한 선택으로 보인다. 지식경제 산업은 상대적으로 초기 투자비용이 적어도 되고 우수한 인적자원을 활용하여 소기의 성과를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북한의 과학기술 중시정책은 관련제도의 정비와 함께 과학기술의 저변확대, 과학자들에 대한 사기진작 등의 모습으로 구체화되고 있다.

  먼저 북한은 과학기술의 저변확대를 위해 각 급 학교와 공장, 기업소 등에 ‘과학기술보급실’을 만들어 컴퓨터 교육을 강화하는 것을 비롯하여 전자상거래 확산, 태블릿pc 보급, 원격(사이버)교육 확대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다. 이를 위한 기반시설로 지난 10월 28일에 준공한 과학기술전당이 주목을 끈다.

  과학기술전당(사진 출처: 조선의 오늘)은 전체 면적이 약 10만 6,600평방미터로서 원자구조 형상의 본관에는 전 자도서관, 과학기술관, 지진체험실, 기상 과학실험실 등이 있고, 인근에 5백 명이 투숙할 수 있는 23층 규모의 과학자 숙소(사진 우측 상단)가 있다. 이 건물의 용도는 “우리가 노력이 남아돌아가고 자재가 많아서 과학기술전당을 일떠 세운(건설한)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들 에게 과학기술발전이 강성국가 건설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대사임을 알게 하려는 것”이라는 김정은의 말에서 잘 나타나 있다.

  다음으로 북한의 과학기술 중시정책은 과학자와 지식인들에 대한 사기진작 정책에서도 엿볼 수 있다. 북한은 최근 3년 동안 ‘은하과학자거리’와 ‘위성과학 자주택지구’를 조성한 데 이어, 올해 11월 3일 ‘미래과학자거리’를 준공하여 과학자들에게 개선된 주거환경을 제공하였다.

  대동강변을 따라 건설된 미래과학자거리는 전체 건축면적이 87만 6천여 평방미터로 주택 2천 584세대, 백화점 등 상업시설 150여 개소, 기상수문국(기상청), 김책공대 자동화연구소 등이 위치해 있다. 특히 좌측의 53층 건물은 초고층 아파트로서 평양시의 새로운 아이콘으로 떠오르고 있다.

  북한이 낙후된 과학수준을 발전시키기 위해 취한 일련의 정책들은 그들의 어려운 경제사정을 고려할 때 획기적인 의의를 갖는다. 그러나 외부세계와의 폭넓은 교류를 꺼리면서 자구노력을 중시하는 기존의 방식으로는 지식정보화 시대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저작권자 © 숭대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