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 스마트 수어방송 서비스 상용화 추진 중

지난달 27일(금) 수어 통역을 제공하고 있는 MBC의 남북정상회담 생중계 화면 캡처

  지난달 27일(금) 방송사 다수가 남북정상회담 생중계 방송에서 수어 통역을 제공하지 않아 논란이 일었다. 지상파 3사 중 KBS는 수어 통역사 7명, MBC는 수어 통역사 3명을 투입해 통역을 진행했다. 이에 반해 SBS는 회담이 끝난 후 늦은 밤에 진행된 토론 프로그램에만 수어 통역을 제공했다. SBS 외에도 JTBC, YTN 등 대부분의 방송사가 수어 통역을 제공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청각장애인 정보접근권 운동 단체 ‘장애의 벽을 허무는 사람들’은 논란이 됐던 생중계 전날인 지난 26일(목) “국내 장애인들도 남북정상회담의 생중계 내용을 알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며 “이는 공익의 책무를 지고 있는 지상파 방송사의 책무”라고 주장했다.

  수어 통역이 미흡하다는 문제가 제기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2월에는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식에 충분한 △수어 통역 △자막 △해설이 제공되지 않아 시청각장애인 7명이 국가인권위원회에 차별 진정서를 제출했다. 또한 대통령 선거가 있을 때마다 이와 관련된 비판적 여론이 일기도 했다. 가장 최근에 있었던 제19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TV토론회에 5명의 후보자가 참여했다. 그러나 수어 통역사는 1명이었기 때문에, 통역사는 몸의 방향과 양 손을 이용해 동시에 5명의 말을 통역해야 했다. 후보자 전담 통역사를 따로 두는 미국과 토론자들을 담은 화면보다 수어 통역 방송화면을 크게 제공하는 독일과는 사뭇 대비되는 모습이다. 이미혜 수어 통역사는 “농아인에게 지금의 대선 TV토론회는 사실상 무의미한 방송”이라며 지나치게 작은 수어 통역 방송화면을 지적하기도 했다. 이에 지난 9일(수) 국가인권위원회는 오는 6월 13일(수) 전국동시지방선거 후보자 토론 등 선거방송 화면을 송출할 때 수어 통역사 2명 이상 배치를 권고할 것이라고 밝혔다.

  애초 방송에 수어 통역방송이 최초로 도입된 것은 지난 1989년 장애인복지법이 만들어지면서부터다. 이에 지난 2016년 수어의 공식 명칭이 ‘수화’에서 ‘한국수어’로 변경돼 하나의 언어로 인정받으면서 수어 통역이 보다 활발하게 제공될 것으로 기대됐다. 그러나 현재는 공영방송 조차 현행법상 수어방송 의무방영 최소치인 5%를 간신히 지키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4월을 기준으로, 지상파 방송 3사가 수어 통역을 제공하고 있는 프로그램 현황은 △KBS(7개): 뉴스 6개, 장애인 프로그램 1개 △MBC(4개): 뉴스 3개, 장애인 프로그램 1개 △SBS(2개): 뉴스 2개다.

  이렇듯 수어 통역이 제대로 제공되지 않는 방송계 현황을 개선하기 위해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는 지난 2월 ‘스마트 수어방송 서비스 상용화 추진계획’을 수립했다. 스마트 수어방송 서비스는 방송과 수어 통역 영상을 각각 방송망과 인터넷망으로 송출하고, 가정의 수신기에서 합성해 텔레비전 화면에 동시에 표시하는 서비스다. 서비스가 상용화되면 통역 영상이 방송화면을 가려 불편한 비장애인과 현재 제공되는 화면의 크기가 지나치게 작아 불편한 장애인 모두를 배려할 수 있다. 수어 통역 영상의 크기와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스마트 수어방송은 지난 2014년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기술을 개발한 후 지난해 KT스카이라이프, SK브로드밴드에 가입된 체험 희망 가정을 대상으로 일부 채널에 한해 시험 방송을 실시한 바 있다. 해당 방송의 추진계획에 따르면 상용화 시점은 내년 상반기로 정해져 있으며, 방통위는 내후년까지 점진적으로 스마트 수어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사를 늘려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 숭대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