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달포 정도 후에 들어설 새 정부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명단을 보고 특히 교 육계에서 교육이 보이지 않는다는 소리가 나오고 있다. 우리 사회의 미래 먹거리를 위해 과학기술분야에 초점을 맞춘 것은 어느 정도 이해를 한다 해도 막상 과학기술교육 분야에 교육 전문가가 한 명도 없다는 것은 심히 우려스럽다. 더욱이 교육부를 타 부서에 통합하여 축소하거나 부처 명칭에서 교육을 빼자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다니 나라의 인재를 양성하는 데 근본이 되는 교육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 지 그리고 앞으로의 교육 정책이 어떨지를 충분히 가늠할 수 있다. 대학 교수들 몇몇이 인수위에 들어갔다 해도 그들은 교육 분야와는 거리가 멀어 국가의 백년대계를 책임지는 교육정책이 학생과 학부모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지 벌써 걱정하는 이들이 많다. 당장 한국교원단체 총연합회와 전국교직원노동조합에서 인수위의 이런 태도를 비판하는 성명서를 내는 등 앞으로도 논란의 불길이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대통령 당선자의 교육 분야 공약 중 특히 교육 현장의 우려를 사는 것은 정시 확대 와 주기적인 학력평가 실시다. 이는 결국 사교육을 조장하고 특히 지금도 문제가 되는 경쟁력 강화, 점수 우선주의 등의 폐해가 발생할 것이 충분히 예견되는데도 공정성이 라는 미명 아래 시행할 전망이다. 그간의 교육정책이 ‘평등’만 강조하다 전체적으로 학생들의 학력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는 일부의 비판에도 일리가 있지만 학생 개개인의 배경을 무시하고 오로지 시험 성적만을 중시하는 정책으로의 변환은 특히나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계층의 기회를 처음부터 박탈하며 종국에는 사회 문제로까지 이어질 수 있기에 반드시 재고해야 한다.

  대학들의 학위 과정 편성과 운영을 완전히 자율화하고 기존의 대학평가 방식을 재 검토하겠다는 소식은 대학들로서는 분명 환영할 일이다. 하지만 대학들이 마냥 기뻐만 할 수 없는 이유는 대학들이 마주친 당면 문제들이 그 정도로 풀기에는 턱없이 미흡하기 때문이다. 대학이 대학답게 학생들을 교육할 수 있는 여건 마련이 확보될 때 비로소 교육다운 교육도 가능하다는 점을 인수위에서는 제대로 인식하고 있는지 의문이다. 10여 년째 지속된 등록금 동결로 빈사 상태인 대학의 재정난을 해결하기 위해 대교협 등에서 고등교육을 위한 재정지원 방안을 건의했지만 구체적인 청사진을 밝히지 않은 상태다. 한국 대학들은 갈수록 치열해지는 국제적 경쟁에서 생존하는 것부터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충원율 문제, 그리고 열악한 재정 상황 등 대학의 생존과 직결되지 않는 문제는 없다. 우리 사회의 미래를 이끌 인재를 양성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대학들에게 차기 정부가 좀 더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지원을 기대한다.

  본교를 비롯해 대학들이 주목해야 할 것은 대학별 특성을 살리는 방식으로 대학평 가 방식이 전환한다는 것이다. 대학들이 기존의 체제에서 단시일 내에 탈바꿈하기는 쉽지 않다. 무엇보다 어떤 방향으로 길을 잡을 지에 대한 구성원들의 논의와 합의가 있어야 하고 그보다 중요한 교과과정 개편과 교수 확충이 수반되어야 한다. 이런 변화가 쉽지 않음을 대학에 몸담은 이들은 익히 경험했지만 변화에 언제까지 눈 감을 수는 없다. 10년 후의 숭실을 짊어질 이들의 소리를 경청하고 반영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숭대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