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 달 동안 극심한 생활고로 안타까운 선택을 하는 이들의 소식이 들려왔다. 우리 사회에 돌봐야 할 이들이 아직 많다는 사실을 새삼 일깨운다. 8월에 발생한 사건을 계기로 그런 일을 방지하기 위해 지난주 목요일에 복지부가 ‘복지 사각지대 발굴 및 지원체계 개선대책’을 발표했지만 바로 다음 날 같은 일이 발생했다. 해당 부처나 실제 업무를 관장하는 기관들이 이미 오래전부터 복지 위기가구를 관리하고 지원하며 복지사각지대를 찾아내는 체제를 강화해 보건과 복지서비스를 확대하는 등 노력하고 있지만 이런 일이 계속해서 발생한다는 것은 여전히 틈새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개인 정보나 사생활 문제에 저촉되지 않는다면 해당 부처가 통신사와 협력하여 소재 파악이 어려웠던 이들을 찾아내는 방안도 있다. 생사가 달린 문제에 있어서는 좀 더 적극적이고 과감한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지난 8월에는 광주광역시에서 보육원 출신의 10대 새내기 대학생과 10대 여학생이 잇달아 극단적인 선택을 한 일이 일어났다. 복지시설 등에서 나와 자립을 해야 하는 보호종료아동에 대한 지원과 대책 마련이 시급한데도 단발성 지원에 그쳐 이 같은 일이 재발할 여지는 여전하다. 우리 주위에서 소외되거나 위기가구는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이들에 대한 제도적인 지원은 정부 당국이 주가 되겠지만 최근 벌어진 사건들은 규정이나 제도만으로는 위험에 처한 이들을 찾지조차 못하는 한계를 보였다. 주변에서도 조금만 관심을 가지고 주위를 살핀다면 안타까운 일을 사전에 막을 수 있는 만큼 일반 시민들의 협조도 중요하고 관계 기관에서도 보다 더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광주 대학생 사건을 계기로 교육부에서는 각 대학에 복지시설 출신 재학생을 파악하여 지원하라는 공문을 보냈다. 본교에서도 사회공헌팀을 중심으로 현황 파악에 나섰으며 장학금이나 주거 시설, 심리 상담 등 다양한 지원책을 준비 중이다. 때늦은 감이 있지만 지금이라도 일회성 지원이 아니라 제대로 자립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도울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 아울러 당사자가 마음의 상처를 받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와 배려를 잊지 말아야 한다.

  이들 못지않게 신체적으로 불편한 이들에 대해서도 생활에 지장이 없도록 해야 한다. 이는 배려 차원이 아니라 사회의 일원으로서 남들과 같은 생활을 누릴 권리의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본교의 경우 휠체어 출입 자체가 불가능한 건물도 있는데 단시일 내 해결하지 못하더라도 출입이 가능할 방안을 세우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휠체어 이용자들을 위해 무인주문기나 신용카드로 출입하는 편의점을 이용하는 경우 기기의 위치를 조정하거나 교내 보도의 턱을 낮추고 램프를 설치하는 등 일상과 관련된 일에서부터 시각 장애인을 위해 점자 도서나 교재를 준비하는 등 수업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사항에 이르기까지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면 개선할 수 있는 부분이 많다. 몇 해 전부터 총학생회를 중심으로 배리어 프리 지도를 제작하여 필요한 이들에게 도움을 주는 등 많은 노력과 발전이 있었지만 제도적인 뒷받침과 교내 구성원들이 꾸준하게 관심을 가진다면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숭대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