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19년부터 2023년까지의 숭대시보

  숭대시보는 한국 최초의 대학신문으로 민족운동의 바람이 불던 1919년 4월 4일에 ‘민족정신 앙양’을 목표로 창간된 숭실대학교 대학신문사이다. 숭대시보는 일제의 탄압하에서 과감히 신문을 통해 항일운동을 펼쳤고, 기독교 이념 아래 민족의 개화, 민족 정기 함양, 계몽에 앞장섰던 대학 신문 성격 이상의 역할을 담당했다. 신문 창간일로 따졌을 때 숭대시보는 조선일보나 동아일보보다도 1년 정도 더 오래된 신문이다. 

  1925년 당시 일제의 ‘사립학교규칙’에 따라 전문학교로 체제가 바뀌어 ‘합성숭실대학’에서 ‘숭실전문학교’로 개편되면서 숭대시보의 제호도 ‘숭전(崇專)타임즈’로 바뀌었다. 이후 1938년 3월 31일 숭실전문학교가 일제의 신사참배를 거부하면서 폐교하자 숭대시보도 자진 폐간했다.

  이후 16년 만인 1954년 4월 15일에 서울특별시에서 숭실전문학교가 숭실대학교로 재건됐다. 숭전타임즈는 숭실대학교 재건 2년 후인 1956년 10월 10일 개교 59주년 기념일을 맞아 ‘숭대시보’로 속간됐다. 숭대시보는 ‘숭전대학신문’ 및 ‘숭실대학신문’이라는 제호로 이어졌다. 이후 숭대시보의 역사성을 되찾고자 창간호의 제호였던 ‘崇大時報(숭대시보)’로의 환원을 맞이했다. 1957년 속간 제2호부터 ‘숭대월보’로 제호가 바뀌었다. 그러나 월간 발행을 하지 못하고 1959년부터는 ‘숭대학보’로 제호가 다시 변경됐다.

  1971년 숭실대학교가 대전대학교(현 한남대학교)와 통합되면서 본교의 이름이 숭전대학교로 변경됨에 따라 ‘숭전(崇田)대학신문’이 됐다. 그러나 1984년 분리되면서 1987년 3월 16일(제482호)부터 제호가 ‘숭실대학신문’으로 변경됐다.
 

  2007년 10월 8일 자(제955호)부터 숭대시보의 역사성을 되찾고자 제호를 창간 제호인 숭대시보로 변경하며, 현재까지도 해당 제호를 사용하고 있다. 숭대시보 관계자는 ‘대학신문의 연원지, 대학문화의 중심, 소통 창구의 모범이라는 평양숭실의 전통을 잇는다’는 취지로 제호를 바꿨다고 전했다. 2019년 3월 4일(제1223호)부터는 지면을 12면으로 늘렸다. 그러나 2020년부터 지면이 8면으로 다시 줄었다.


  |  숭대시보 주요 기사 (1982 ~ 1988)
  1980년대의 숭대시보는 당시 암울한 역사 현장이 담겨 있다. 당시 본지를 살펴보면 △학내 평화 투쟁 행진 △석방 시위 △학생 운동의 방향성 △민주화 운동 열사 정보 등의 기사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역사의 어둠을 진리로 밝힌 민족사학 숭실’의 역사를 숭대시보가 따라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본 기자는 많은 기사 중 ‘80년 서울의 봄과 숭실의 학생운동’ 기사를 선택했다. 정국의 변화가 염려스러운 1980년 우울한 기억을 발전의 계기로 사용해야 한다는 문단으로 시작된다. 당시 본교에서는 교수 파벌 등의 문제로 학내 민주화가 요구됐고 채플의 자율화 문제 등이 거론됐다. 사회 민주화 요구가 시작되던 당시 대부분의 학생들의 관심사는 학내 문제였다. 그러나 ‘계엄철폐’와 ‘정부주도의 개헌 중단’ 등의 내용이 담긴 대자보가 설치되고 14대 교수 361명이 시국선언을 발표하며 학생의 관심사가 사회 문제로 전환됐다. 본교에서는 ‘민주의벽’이 설치되고 ‘4월 혁명 기념제’가 개최됐다. 학생병영집체훈련 <문무대 입소> 거부에 따른 징집 영장 발부로 투석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본교가 역사의 현장에 한 면으로 남으며 본지는 대중노선의 방법론을 강조한다. 본지는 당시 시위에 참여한 대학생들이 더 옳은 결과를 위해 어떤 행동을 해야 했는지 고민하고 과정의 잘못됨을 지적하기도 한다. 그러나 본지는 운동의 발전이 위와 같은 상황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좌우의 편향은 언제나 있는 것이므로, 결국 진리를 향해 나아가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교훈을 남겼다.

  숭실의 봄과 숭대시보의 펜은 이렇게 역사에 참여하고 기록하며 이어져 왔다. 더 치열한 당시의 숭대시보를 알고 싶다면, 본교 학생회관 207호에 위치한 숭대시보 편집실에서 열람할 수 있다.


  |  숭대시보 주요 기사 (2008.02 ~ 2023.03)
  숭대시보 웹사이트에서는 지난 2008년 02월 19일 발간된 961호 기사부터 확인할 수 있다. 본지는 지난 2008년부터 지난 2021년까지 보도 기사 중 가장 높은 조회수를 보인 기사 두 개를 선택했다.

  지난 2013년 발행된 본지 1090호 ‘학생 10명 중 8명, “일부 종교 동아리 선교 방식 문제 있다”’ 기사는 본교 일부 동아리의 일방적인 선교 방식에 대한 재학생의 의견을 조사한 취재 기사다. 당시 종교 동아리는 총 10개로 △기독학생회 △네비게이토 △불교학생회 △예수전도단 △카톨릭학생회 △CBA △CCC △IVF △JOY △UDC였다. 취재 결과, 10개 동아리 중 네비게이토와 UDC만이 캠퍼스 전도를 하고 있었다. 나머지 8개 동아리 중 일부는 선교를 계획하고 있었다.

  이에 본지는 380명의 학내 구성원을 대상으로 ‘일부 종교 동아리의 선교 방식(길에서 따라붙기, 개인 핸드폰으로 연락)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라는 설문을 진행했다. ‘문제 있다’는 문항에 293명(77%)이, ‘문제 없다/상관없다’ 문항에는 87명(23%)이 응답했다. 불편을 준 두 동아리는 복음을 전하는 차원에서 전도를 진행했는데 학생들이 불편함을 겪는지 몰랐다는 입장이었다. 이후 최대한 예의 있게 접근하는 등 개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종교 동아리를 관할하는 교목실 소속 기독인연합 역시 “학생 민원으로 동아리에 제재가 가해진다”며 종교 동아리 선교 방식에 대한 별도 지도를 진행하지 않았다.
 

  10년이 지난 2023년까지 교내 선교 방식에 대한 불만이 존재한다. 본교 종교 동아리뿐만 아니라 일부 외교 선교 단체가 들어와 선교하는 실정이다. 대학생 커뮤니티 ‘에브리타임’(이하 에타)에서는 종종 허가받지 않은 전도에 불만을 담은 글이 게시된다. 실제로 지난 1월 경영학부 교직원이 ‘기독교에 관심있냐’는 질문과 함께 접근해 왔다는 글이 게재됐다. 현재 본교는 외부 선교 활동을 엄격하게 금지하고 있으며, 교목실에서 발급된 정식 전도 허가증을 가진 사람만 선교할 수 있다.

  본지 1167호 ‘논란 속의 국가장학금 2유형, 무엇이 문제?’ 기사는 2유형 지급 방법과 지원 대상 등의 논란을 다뤘다. 지난 2012년부터 시행된 국가장학금은 1유형과 2유형으로 나뉘어 지급된다. 1유형의 경우 대학과 상관없이 한국장학재단에서 학생의 소득분위에 따라 차등 지급하는 방식이다. 반면 2유형은 한국장학재단이 대학의 교내장학금 규모 증가 및 등록금 인하 등을 평가해 차등 지원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2유형과 관련된 대학들의 요구는 적지 않다. 대부분 교육부가 2유형을 통해 등록금 인상을 막아 학교의 재정 부담이 크다는 것이다. 학교 노력에 따라 등록금을 차등 배분하는 방식 역시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당시 본교 장학팀 관계자는 “본교도 타 대학과 마찬가지로 2유형을 지원받기 위해 매년 무리한 장학금 지출이 이뤄지고 있다”며 “심지어 건물 보수 공사 등 다른 분야에 사용돼야 할 학교 예산까지 교내 장학금을 확충하기 위한 자금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반대로 정부는 2유형이 무분별한 등록금 인상을 억제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당시 본지의 취재 결과, 교육부의 주장대로 2유형은 대학의 등록금 인상을 막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전국 272개 대학의 등록금심의위윈회 회의록에 따르면 당해년도 등록금을 인상한 대학은 3곳뿐이었다.

  장학금 수혜 범위를 넓히면서 장학금의 본질을 잃었다는 평가도 있었다. 지난 2013년부터 3분위(월소득 373만 원)까지 지급했던 장학금을 8분위(737만~893만 원)까지 지원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약 8년이 지난 올해에도 위과 같은 입장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지난달 8일(수) 교육부는 2023년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 기본계획을 발표하며 올해 총 4조 4,447억 원을 지원할 계획임을 밝혔다. 지난해와 같이 3,800억 원의 규모를 2유형에 분배했다.
이번 교육부의 발표에도 일부 대학은 물가 상승률 확대로 국가장학금 2유형을 지원받는 것보다 등록금 인상을 택했다. 고등교육법에 따르면 등록금 법정 인상 한도는 3년 평균 소비자 물가 상승률의 1.5배까지다. 그러나 지난해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전년 대비 1.65% 증가한 5.1%로 나타나면서 위와 같은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다. 대학교육연구소 임은희 연구원은 “등록금 동결이 최근 있던 일이 아니기 때문에 대학 입장에서도 참을 만큼 참았다는 분위기가 생길 것이다”고 전했다.

  지난 본지의 기사는 현대사부터 본교의 주요 사건까지 아우르는 기록물이라고 볼 수 있다. 2008년 이후의 본지와 본교가 궁금하다면 언제든 자료로 존재하는 숭대시보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하길 바란다.

  |  숭대시보의 일주일

  본지는 일주일이 시작되는 월요일부터 바쁘게 움직인다. 기획 회의를 하기 전, 이번 신문에 담을 취재 거리를 준비한다. 월요일 저녁에 기획 회의를 진행해 각자의 기획서를 발표한다. 서로의 기획서를 피드백하기도 한다. 기획 회의 이후 본지 데스크가 각 기자가 가져온 취재 거리를 종합해 편집계획서를 작성한다. 기자들은 편집계획서를 바탕으로 한 주의 취재를 시작한다. 편집계획서는 그 주에 어떤 기사를 취재할지 보여 주는 계획서다. 편집계획서를 통해 자신이 취재하는 기사가 무엇인지, 해당 기사를 첨삭하는 기자가 누구인지 확인할 수 있다.

  본지는 △인터뷰 △각종 공지 △자료 등을 바탕으로 취재한다. 취재원과의 인터뷰를 진행할 경우 사전 취재가 필수이다. 기사화할 주제와 관련된 자료 및 과거 취재한 기사를 읽고 미리 정보를 습득한다. 이후 △취재하고 싶은 부분 △추가 설명이 필요한 부분 △사실 확인이 필요한 부분 등을 포함한 질문지를 작성한다. 질문지까지 완성되면 취재원에게 연락해 인터뷰를 요청한다.

  현장 취재를 진행하기도 한다. △본지 1304호 ‘강의실부터 고민사거리까지, 장애 학생 접근권을 살펴보다’ △본지 1301호 ‘당진에서 역사와 가을을 느끼다’ △본지 1293호 ‘2022년 5월, 광주의 기억을 새기다’ △본지 1272호 ‘2019년 SALC 동아리 사망사건의 진실을 향한 에움길’ 기사가 그 예시다. 취재 후에는 편집실에서 기사를 작성한다. 기사의 초안이 완성됐다면 해당 기사의 담당 기자에게 보내고 수정본을 기다린다.
 

  금요일에는 기사 마감이 있는 날이다. 수업이 다 끝난 금요일 저녁에 본지 국원들은 편집실에 모여 기사 마감을 시작한다. 여러 번의 첨삭 과정을 통해 더 나은 기사가 나올 수 있도록 노력한다.

  토요일에 숭대시보는 기사 조판을 진행한다. 신문 지면 제작 업체에 최종 기사를 보낸다. 교정·교열을 검토하는 조교가 신문의 오탈자나 문맥상의 오류를 확인하고 기자들은 고칠 부분을 수정한다. 본지의 지면은 총 8매이며 모두 면밀히 살펴 완성한다. 최종본이 나오면 만들어진 신문을 발행해 다음 주 월요일까지 배포한다.

  본지의 일주일은 학내 구성원의 알 권리를 위해 불철주야로 움직인다.

저작권자 © 숭대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