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챗GPT’에 대한 반응이 뜨겁다. 필자도 궁금해서 챗GPT에게 “챗GPT와 대학교육”이라는 검색어를 입력해 봤다. 학습과 강의의 보조 수단으로 활용돼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이 답의 핵심이었다.

  그러나 실제로 이것이 보조 수단으로만 활용될 것이라고 믿는 이는 별로 없는 듯하다. 기대감도 있지만 우려감도 상당히 큰 것이다.

  역사적으로 산업혁명은 기술이 이끌어 왔으며, 사람들은 그때마다 기대와 우려를 동시에 표출했다. 신기술을 수용할 수 있는 법 제도를 가진 국가는 흥했고, 그렇지 못한 국가는 경쟁력이 약화되는 결과를 감수해야 했다. 증기기관을 제일 먼저 발명하고도 1865년 붉은 깃발법(Red Flag Act) 제정 후 자동차 산업의 주도권을 독일에 뺏긴 영국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챗GPT는 지식 전달자로서의 교수 역할을 상당 부분 대체할 것으로 예상된다. 때로는 교수가 해당 지식의 활용 방안을 놓고 수강생들과 상상력 경쟁을 해야 하는 상황도 발생할 수 있다.

  문제는 이런 변화에 교수나 학생,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하는 장치. 즉, 제도적 장치가 매우 미흡하다는 점이다. 

  우선, 챗GPT를 활용하면 고정된 강의실에서의 교육 시간이 상당 부분 축소된다. 교육비의 상당 부분이 증감되고, 한 강좌에 참여하는 교수가 다수이거나 수강생의 수 역시 유동적일 것이다. 

  그러나 대학교육의 기본법인 고등교육법상 등록금은 물론이고 교직원의 자격과 임용조건, 교육과정의 운영, 수업, 학점 인정, 편입학, 학생정원, 학생의 선발방법, 대학원 수업 연한, 심지어는 입학전형료까지 모든 사항을 교육부가 통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는 챗GPT을 활용한 교육방법을 교육부가 신속히 제시하지 못하면 대학교육은 기술과 시장, 그리고 학령인구 감소라는 변화에 부응하지 못해 교수와 학생 모두 불행해 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윤석열 대통령은 최근 3대 개혁 사항으로 교육개혁을 꼽은 바 있다. 즉, 국가가 교육과 돌봄을 책임지고, 공정하고 다양한 교육기회가 보장되며, 첨단 과학기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개혁’을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한 것이다. 이 발언 속에 챗GPT와 관련한 대학교육에 관한 직접적인 내용을 찾아보기는 어렵다. 다만, 국가가 대학교육 개혁에 적극적인 지원을 하겠다는 의지는 분명해 보인다.

  문제는 방법론이다. 교육부가 지금처럼 지원금을 가지고 대학교육의 모든 것을 통제하는 한, 각 대학 스스로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해 교육의 효율성을 확보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정부가 교육개혁을 위한 지원은 하되 대학 스스로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각 대학의 자율성 부여 범위를 확대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부디, 챗GPT의 등장으로 교수와 학생 모두 윈윈하는 정부의 대학 교육 개혁방안이 제시되기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숭대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