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의 일자리 문제가 심각하다. 이미 수년 전부터 지속된 문제지만 여전히 제대로 된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어, 당사자인 청년층은 물론이고 부모들 역시 깊은 시름에 잠겨 있다. 수년간 지속된 코로나19 감염 사태, 중국의 경기 침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에너지 위기 등의 악재로 이미 물가가 급격하게 오르고 있다. 게다가 올초에 국제통화기금 총재는 올해 세계 경제의 3분의 1이 불황에 빠질 것이라고 전망했으며 새해가 밝자마자 미국의 빅테크 기업들이 직원들을 대량해고하는 등 세계 경제가 단시일 내에 나아지리라는 기대는 접어야 할 판이다. 국내 사정도 마찬가지여서 사기업에 들어가기가 예전보다 어려운 상황이다. 공공 기관마저 신규 채용을 줄인다는 방침을 세워서 가뜩이나 얼어붙은 청년들의 고용 시장에는 계속해서 한파가 불어닥치고 있다.

  고용노동부 집계에 따르면 금년 1월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청년 고용률은 46.1%고 청년 실업률은 5.9%로 약 24만 7천명 정도의 청년이 직업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의 핵심은 청년들이 기꺼이 일할 수 있는 자리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청년들은 일자리가 없어서 취업을 못하는 것이 아니다. 그들의 눈높이에 맞지 않는 일자리에는 애초에 지원을 하지 않으려 한다. 공무원, 대기업, 공기업, 상위권 중견 기업 등 청년들이 받아들일 만한 수준의 근무 환경과 급여 수준을 제공할 수 있는 곳은 구직자의 20%도 수용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나머지 80%의 청년은 파견직, 일용직, 비정규직 등 미래의 안정을 보장받을 수 없는 곳을 선택의 여지 없이 갈 수밖에 없다. 작년 8월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비정규직 비율은 28.3%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속한 나라들 가운데 콜롬비아(28.5%)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수험생들의 의대 쏠림 현상이나 대학생들의 공무원 쏠림 현상은 미래의 안정성을 중시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회 전체로 볼 때는 다재다능한 인재들이 낭비되는 꼴이기에 국가 입장에서는 대단한 손실이 아닐 수 없다. 또한 우리 사회에 심각한 문제인 저출산과도 직결돼 있으니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문제다. 차라리 저출산으로 책정된 수십 조에 달하는 예산을 청년층의 취업이나 고학력 시대에 맞는 새로운 일자리 창출 환경에 사용하는 것이 긴 안목으로 볼 때 일거양득일 수 있다. 정부는 보다 다양한 방면으로 청년들이 진출할 수 있게끔 고부가가치 산업을 육성하는 등 적극적인 지원책을 세워야 한다. 청년들이 원하는 직업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은 비단 개인의 생계 문제를 넘어 사회의 안정과 유지를 위해서 필수적이다. 정부에서는 아까운 인재들이 더 이상 낭비되지 않도록 시급하게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숭대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