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2일(금) 등록을 마친 22대 국회의원 선거(이하 총선) 후보자 699명 중 20대 후보자가 4명, 30대 후보자가 34명으로 총 38명이다. 전체 후보자 699명 대비 5.4%에 달하는 비율이다. 

  현재 제21대 국회에서 △더불어민주연합 용혜인 의원 △더불어민주당 전용기 의원 △국민의힘 배현진 의원 △개혁신당 류호정 전 의원 △국민의힘 김예지 의원 △녹색정의당 장혜영 의원 등 총 13명의 20대‧30대 청년 정치인이 활동하고 있다. 이는 전체 의원 300명 가운데 13명으로 4.3%에 불과한 비율이다. 지난 2016년 기준 제20대 국회에서는 전체 의원 300명 중 3명으로 1% 비율이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18세 이상 40세 미만 인구는 1,359만 6,245명으로 18세 이상 인구 4,426만 2,705명 중 30.7%를 달했다. 전체 인구 대비 청년 인구의 비중에 비해 전체 국회의원 중 청년 의원은 그에 못 미치고 있다.

  청년 정치인의 비중이 낮은 원인으로 자금력이 지목됐다.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정회옥 교수는 “청년 정치 성장의 큰 장애물로 자금력이 있음을 부정하기 어렵다”며 “정치자금법상 공직 후보자 청년 추천 보조 제도가 있지만, 금액이 적고 청년들에게 직접적인 지원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서울신문에 따르면 제21대 총선에서 경선을 거쳐 본선에 진출한 청년 정치인들은 1인당 평균 2억 원의 선거 경비를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선에 진출한 경우 총선 득표율에 따라 상당 부분 보전받을 수 있다. 경선에서 탈락되거나 배제되면 돌려받을 수 없다. 경선에서 탈락되거나 배제된 후보들은 평균 1인당 3,000만 원의 선거 경비를 지출한 것으로 집계됐다. 후원회가 없거나 비교적 자금력이 약한 신진 청년 정치인들은 자비로 선거 경비를 충당한다. 

  중진 의원 및 기성 세대 위주의 정치권 분위기도 사회 내 청년 정치인 비중을 낮게 만드는 원인으로 분석됐다. 당에 영입된 청년 정치인이 당과 반대되는 의견을 제시한다면 당 차원에서 받아들여지는 경우가 적다. 이에 청년층을 대변할 수 있는지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가 이어졌다. 전문가는 청년 정치인 스스로 정무 감각 등 개인 능력을 길러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청년 정치인들 스스로 정무 감각, 소통 능력, 지식적 배경으로 무장하고 기성 정치인과 싸워야 한다”며 “청년 정치를 왜곡하고 수단화시키는 정치인에 대해 철저히 평가할 수 있어야 청년 정치의 미래가 밝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외부 영입 인재를 위주로 구성되는 청년 정치인의 활동이 단편적으로 그치게 한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청년 정치인들은 비례대표 국회의원으로 당선돼 활동하다 차기 선거에서는 공천 받지 못 해 단발적인 영입에서 끝나는 경우가 많다. 청년 정치인이 선거철에 영입 인재로 정계에 입문했다가 선거철이 끝나면 별다른 직책을 맡지 못하고 선거용으로만 소모되는 방식인 것이다. 더불어민주당 전용기 의원은 “정치권이 부각하는 ‘청년 정치’에서 정작 청년은 대상으로만 존재하고 발언권과 정책 결정권에 소외돼 있다”고 말했다. 

  한편 청년 정치의 활성화를 위해 청년 정치인이 활약할 공간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국민대 정치외교학과 장승진 교수는 “청년이 운 좋게 선거에서 이기더라도 국회에서 실력을 발휘하고 중견 정치인으로 성장하려면 훈련이 필요하다”며 “어릴 때부터 정당에 가입해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청년에게 길을 열어주는 정당의 문화와 의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숭대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