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은 어떤 청년을 원하는가? (1)에서는 500대 대기업 인사담당자들이 서류전형 단계에서 중요하게 평가하는 요인들에 대해 살펴봤다. 기업은 어떤 청년을 원하는가? (2)에서는 500대 대기업 인사담당자들이 면접단계에서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는 요인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500대 대기업 인사담당자들이 면접단계에서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는 요인은 ‘도덕성/인성’으로 나타났다. 다른 능력이 뛰어나더라도 도덕성/인성이 부족하면 회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도덕성/인성은 중요하다기 보다는 필수 조건에 가깝다는 것이 기업 인사담당자들의 의견이다. 이는 일은 배우면 되지만, 사람은 변하지 않는다는 인식에 근거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도덕성/인성은 윤리성을 포함한다. 윤리성의 경우 대기업뿐만 아니라 공기업 채용에서도 중요하게 평가하는 요인이다. 공공기관 종사자들에게 요구되는 가장 중요한 덕목이 청렴이다. 이는 윤리성에 기반한 것이다. 따라서 도덕성/인성은 대기업 또는 공기업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갖추어야 할 덕목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팀워크’, ‘문제해결능력’, ‘인내력’ 등이 면접단계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조사됐다.
팀워크는 협업을 해야 하는 조직의 특성을 잘 반영한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다른 사람과 협업하지 않고 혼자서만 일하려고 하는 사람들을 회사는 선호하지 않는다. 회사는 보통 팀제로 운영되기 때문에 팀원들과의 협업과 조화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따라서 자신이 협업을 잘 하는 사람이라는 것을 보여줄 수 있는 사례를 선택해 자기소개서를 작성하고 면접에서도 이를 강조해서 답변할 필요가 있다.
문제해결능력은 다소 모호하게 느껴질 수 있을 지 모르지만 조직에서 일을 하다 보면 사실 모든 것이 문제들이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은 조직원들에게 꼭 필요한 능력이라고 볼 수 있다. 조직에서 업무를 하면서 어려운 문제에 직면했을 때 스스로 부딪혀 해결하기 보다는 이를 회피하려고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태도는 조직생활을 어렵게 하고 결국 조기 퇴사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문제해결능력은 기업이 청년들에게 요구하는 중요한 능력이다.
기업이 면접단계에서 중요하게 평가하는 요인들 중 우리가 새롭게 주목해야 할 요인이 바로 인내력이다. 사실 이 연구결과가 발표되기 전까지 드러내 놓고 이야기하기 어려운 것이 바로 인내력이었다. 인내력은 신입사원의 조기 퇴사와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요인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신입사원들이 조금만 어려운 일이 있어도 이겨내지 못하고 퇴사를 하는데 기업은 이를 인내력 부족 때문이라고 보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인내력은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태도 능력이다.
도덕성/인성, 팀워크, 문제해결능력, 인내력 이외에도 의사소통능력, 도전정신 및 열정, 회사와 직무에 대한 이해, 직무관련 기초지식 등이 면접단계에서 중요한 평가 요인에 포함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회사와 직무에 대한 이해, 직무관련 기초지식은 취업을 준비하는 취업 준비생이라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것들이다. 최근에 직무능력과 직무경험이 중요해지면서 회사와 직무에 대한 이해, 직무관련 기초지식은 면접에서도 중요한 평가 요인이 되고 있다.
의사소통능력은 자신의 의견을 잘 전달하는 것은 물론 타인의 의견을 잘 경청하고 질문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 의사소통능력은 다른 사람들을 설득하는 프레젠테이션 능력까지 포함한다. 프레젠테이션 능력은 글로벌 기업의 최고 경영자에게도 요구되는 능력이다. 삼성 갤럭시폰이나 애플의 아이폰이 새롭게 출시되면 어김없이 해당 기업의 CEO가 등장해 신제품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한다. 이제는 프레젠테이션 능력을 갖추지 못하면 조직에서 살아남기 어렵게 됐다. 그러니 프레젠테이션 능력을 포함한 의사소통능력은 미래의 인재가 될 청년들이라면 당연히 갖추어야 하는 능력이다.
기업들이 도전이나 열정을 강조하지만 도전정신 및 열정은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게 조사됐다. 이는 너무 ‘튀는 것’을 선호하지 않는 우리나라의 기업 문화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글로벌 시장에서 우리 기업이 경쟁력을 계속 유지해 나가기 위해서는 이런 기업문화를 바꾸어 가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적극적으로 열정을 가지고 도전하는 것을 권장하는 기업문화가 조성될 필요가 있다. 면접을 준비하는 취업 준비생이라면 위의 조사결과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기업들이 면접에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들에 주목하고 자기소개서를 작성할 때도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작성할 필요가 있다. 기업이 면접단계에서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알았다면 이제 그것을 잘 준비해야 할 것이다.
출처: 채창균 (2017. 05). 기업은 어떤 청년을 선호하는가?: 4년제 대졸자 채용 시장. THE HRD REVIEW. 한국직업능력개발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