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교 3,572개 면적 소실…
인명·문화재 피해도 속출
지난 22일(토)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발생한 산불이 인근 5개 시군으로 확산된 지 6일 만에 진화됐다. 산림청은 지난 28일(금) 오후 5시, 산불 발생 149시간 만에 주불 진화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산불은 역대 최대 규모의 피해를 남기며 전국적인 재난으로 기록됐다.
경북 의성 안평면에서 시작된 산불은 강풍과 건조한 기후를 타고 △안동시 △청송 군 △영양군 △영덕군으로 급속히 번졌다. 피해 면적은 약 47,858ha로 서울특별시 면적의 약 75%에 해당한다. 본교 캠퍼스 면적과 비교하면 약 3,572배 규모다.
산불의 발화 원인은 성묘객의 실화로 추정되며 경찰은 정확한 경위를 조사 중이다. 초기 산불 확산의 주요 원인으로는 초속 15m에 이르는 강풍과 건조한 날씨가 지목됐다. 특히 순간 최대 초속 27m의 바람이 불며 불씨가 인근 지역으로 튀는 비화현상이 빈번히 발생했다. 비화현상은 불붙은 송진이나 나뭇가지가 바람에 날려 2km 이상 떨어진 지점으로 옮겨가며 새 불씨를 만드는 현상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산림의 수종 구성 또한 산불 확산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BBC 취재에 따르면 “불에 잘 붙는 송진을 가진 소나무가 바람을 타고 사방으로 날아가며 또 다른 산불을 만들어냈다”며 “한국 산림의 대부분이 소나무인 점이 피해를 키웠다”고 전했다.
지난 29일(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경북 북동부 지역 산불로 인한 인명피해가 70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문화재 피해도 발생했다. 지난 28일(금) 기준 국가지정유산 11건과 시·도지정유산 16건 총 27건이 산불로 인해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성 고운사는 연수전과 가 운루가 전소됐으며 청송 주왕산국립공원은 1,000ha가 훼손됐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안동 하회마을과 병산서원도 산불이 약 5km 근방까지 접근해 방어 작업이 이뤄지기도 했다.
이재민 피해 규모 또한 역대 산불 피해 중 가장 크다. 경북은 피해 주민 약 27만 명에게 1인당 30만 원의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할 방침이다. 현재도 6천여 명이 임시 대피소에 머무르고 있으며 정부는 임시 주거지를 제공하고 장기적으로 공동 거주시설과 조립주택 등을 통해 이주를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이번 달 전국적으로 산불이 발생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와 산림청에 따르면 이달 전국에서 발생한 중·대형 산불은 11건으로 △경상북도(의성·안동·청송·영양·영덕 등) △경상남도(산청·하동) △울산(온양·언양) △충청북도(옥천) △전라북도(무주) 등에서 나타났다. 지난 29일(토) 기준 확인된 전체 사망자는 최소 29명, 부상자는 39명이며 주택·시설물 4,646동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재민 수는 3만 6천여 명에 달한다.
현재 산청·하동 일대 지리산국립공원에서는 29일(토) 기준 산불 진화 작업이 이어 지고 있다. 산림청은 헬기 40여 대와 진화 인력 1천여 명을 투입해 천왕봉을 중심으로 방화선을 구축하며 대응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강풍이 계속될 경우 잔불의 재발화 가능성도 있다고 경고했다.
산림청은 오는 5월 중순까지를 봄철 산불 대책 기간으로 지정하고 감시·예방 활동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산불 실화자에게는 산림보호법에 따라 3년 이하 징역 또는 3천 만 원 이하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