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학년도 상반기 중앙 감사 결과 본교 금융학부가 최하 등급인 F를 받았다. 횡령이나 고의적 악용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감사 지침에서 반복적으로 강조해 온 회계 절차를 여러 차례 준수하지 않은 사실이 드러났다. 문제의 본질은 ‘돈을 잘못 썼다’가 아니라 ‘공적 절차를 무시했다’는 데 있다.

  중앙 감사위원회가 지속적으로 회계 지침을 안내하고 교육을 진행한 것도 절차의 중요성을 환기하기 위함이라 볼 수 있다. 학생 자치기구가 권위를 유지할 수 있는 근거는 구성원과 맺은 신뢰에 있다. 학생들이 납부한 회비가 정당하고 투명하게 집행된다는 믿음이 전제될 때 비로소 자치기구는 지지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회계 절차는 단순한 형식이 아니라 반드시 지켜야 할 의무이며, 공동체의 신뢰를 지탱하는 최소한의 장치다. 이를 무시하는 순간 학생 자치는 존재 근거를 상실하게 된다.

  본 기자도 학생회 임원으로 활동한 경험이 있어 학생회비 운용 및 감사 준비에 어려움을 느낀 바 있다. 그러나 많은 회계 부정은 작은 절차 위반에서 비롯된다. 무심한 관리와 절차 무시는 사소해 보일지라도 반복되면 학생 사회 전체를 불신의 수렁으로 이끌 수 있다. “고의적 비리가 아니니 문제 없다”는 태도는 오히려 더 위험하다. 학생회 임원에게 회계 관리와 절차 준수는 선택이 아니라 책임이며, 그것이 무너질 때 학생 자치의 정당성 또한 흔들릴 수밖에 없다.

  감사 제도의 목적은 처벌이 아니라 개선에 있다. 실제로 지난달 25일(월) 열린 징계위원회는 금융학부 학생회장과 사무국장에게 특별 회계 교육 3시간을 부과하는 데 그쳤다. 이는 본교 감사가 학생회의 권한을 억압하거나 예산 집행을 봉쇄하기보다 신중한 집행을 촉구하고 올바른 운용을 유도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취지를 가볍게 여긴다면 감사는 제 기능을 상실하고 학생 자치는 스스로를 지킬 장치를 잃게 된다. 금융학부 사례는 안일한 태도에 대해 경고한다. 이번 결과는 실패가 아니라 학생 사회 전체가 절차 준수와 투명성의 가치를 다시금 확인하는 전환점이 돼야 한다. 학생 자치의 이름으로 활동하는 이상 그 책임은 결코 가볍지 않다.

저작권자 © 숭대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